하브루타 수학 질문수업 - 수학, 풀지 말고 떠들어 봐!
양경윤.김수진.곽초롱 지음 / 비비투(VIVI2)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을 좀 더 잘 하기 위해

좀 더 이해하기 위해, 좀 더 즐기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았다.

제목에 있는 하부루타 방식은 이미 어느정도 익숙하지만, 대부분 인문학 수업. 국어 관련 수업과 관련있다고 생각해왔는데, 수학에선 어떤식으로 진행되는지 궁금했다

1장.





질문수업의 시작은 질문이 아니었다

수업의 몰입도를 위해 긴장감을 주는 타이머 없는 1분의 정리시간과, 3분간의 노트 줄긋기등의

준비 시간.

그 이후에 질문수업이 들어간다.

---- 딘원 개관 까만놀이 ---

1. (자리를 이동하여)짝과 인사하기

2. (새로운) 짝과 한 문장씩 번갈아가며 읽기

3. 아나운서처럼 또박또박 읽기

4. 짝과 함께 질문 쓰고 말하기

이 과정을 서너번 반복하면 대단원 읽기가 끝난다.

질문 만들기가 끝나면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은 것을 두 개만 골라서 별표 치기

마지막은 배움 글쓰기로 자기 생각을 정리하기.

(일기를 쓰듯 편하게 쓰기)

--------- 본격적인 수업 들어가기 ----------

교과서를 덮고 공책, 연필, 지우개로만 진행

1. 탐색하기 : 수학의 언어로 말한다

( 수식등을 소리내어 읽어보기)

스스로 해보기- 짝과 피드백하기- 교사가 알려주기 3단계로 진행

2. 계산하기 (역시 위와 같은 3단계로 진행)

3. 위 방식의 학습의 반복.

4. 평가지 풀기 (결과적으로 아이들의 문제푸는 속도가 의미있게 향상 되었다)

🌱문장제 수업의 진행

1. 교사는 칠판에 문장제 문제를 쓴다

학생들도 따라 쓴다

이때, 주의할 점은 한 줄 씩 띄우고 쓰기

2. 띄어 쓴 문장을 잘 게 쪼개기

3. 구하고자 하는 것 찾기

4. 셈식을 찾기

5. 숫자와 셈식을 연결하여 답 구하기

2장.

수업에 적힙한 자리배치.



학생에게 쉽게 다가가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배치.

ㄷ자 구조 정중앙에 생기는 넓은 공간은 ‘만남의

광장’이 된다

질문놀이의 시작 - 까바놀이.

까바놀이는 말끝은 까로 바꾸는 놀이이다.

‘눈금이 있습니다.’ - 눈금이 있습니까? 숫자가 있습니다

‘숫자가 있습니까? 0과 180이 있습니다’

‘0과180이 있습니까? 모양이 반원입니다’

이렇데 두 학생이 번갈아 가면서 말하는 방식이다.

좀 더 쉬운 질문 만들기 - 까만놀이

까만놀이는 무슨 말이든 ‘까’로 만드는 놀이이다.

각도기는 어떻게 쓰나요?

각도의 단위는 무엇인가요?

단위는 무엇인가요?

꼭 각도기로 각을 재어야 할까? ...

이렇듯 학생들의 질문속에 이번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할 핵심적인 부분들이 다 나온다.. 이것이 바로 질문의 힘.

짝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짝과의 대화와 나아가 짝에게 설명하는 수업은 스스로의 피드백이 된다. 설명을 함으로 자신이 아는지 모르는 지를 정확히 자각하게 된다.

3장.

수학 질문수업으로 성장하기

수학 문제를 토론 학습으로. - 도전 수학 문제를 해결한 후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을 제시한다

  1. 문제를 소리 내어 함께 읽고 핵심에 줄 긋기

  2. 혼자 생각하여 풀기 / 짝과 함께 풀기

  3. 글속의 문제를 그림으로 바꿔서 짝에게 설명하기

  4. 교사 피드백

  5. 토론을 위한 질문 만들기

이 외에도 책 후반에는 질문 수업 활용후의 성적의 향상 변화에 대한 여러 사례들과

좀 더 다양한 활용법 들도 나와있다.

이 책은 학교 교사들의 수업 활용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어

집에서 활용 가능할까도 생각 들었지만,

아이 스스로 질문을 통한 개념 파악이나 정리, 교사 대신 부모의 적절한 피드백으로 아이의 수학 공부에 도움을 줄 수 있을꺼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