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초의 아이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84
로이스 로리 지음, 강나은 옮김 / 비룡소 / 2024년 9월
평점 :
현대 SF 최고의 고전인 『기억전달자』작가 로이스 로리의 신작이라 무척 기대되었습니다.
이번 신작 최초의 아이는 미래가 아닌 과거의 이야기입니다.
독일 북부에서 발굴된 2,000년 전 시신인 '늪지 미라'에서 영감을 받아 완성한 작품이라고해요.
미라가 된 아이의 삶을 이야기해줄 작가의 상상력이 기대되는 책이었습니다.
<에스트릴트의 이야기>
철기시대, 강인한 여자아이 에스트릴트와 병약한 파리크는 어릴적부터 친구였습니다.
이 시대 여성은 아이를 낳고 기르며 가족을 돌보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에스트릴트는 최초의 여자 전사를 꿈꾸었습니다.
남자아이들의 성인식이자 전사 임명식인 새봄 의식이 곧 치뤄질 예정입니다.
에스트릴트는 이날 최초의 여자 전사로 인정받기 위해 친구 파리크와 함께 남몰래 전사 자세와 구호, 매듭 만들기를 연습했습니다.
에스트릴트가 그렇게 기다려온 '새봄의식'의 날, 과연 에스트릴트는 전사로 임명될 수 있을까요.
<파리크의 이야기>
태어날 때부터 병약했던 파리크는 부모를 여의고 대장장이의 보조로 일하고 있습니다.
파리크에게 친구는 가죽세공사의 딸 에스트릴트 뿐이었습니다.
다른 아이들은 늘 파리크를 업신여겼지만 초원과 숲은 편안하게 파리크를 맞이해 주었습니다.
파리크는 언제나 더 배우고 싶었습니다. 특히 자기 몸의 비밀들을 알고 싶었습니다.
파리크는 동물의 뼈를 관찰하고 탐구하기 시작하는 것이 재미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대장장이가 넘어져 다칩니다. 자신을 때리고 업신여기는 대장장이를 위해 파리크는 온힘을 다해 대장장이의 뼈를 맞추어줍니다.
<느낀 점>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파리크가 대장장이를 치료해주는 장면이었습니다
파리크는 절름발이 고아로 겨우 목숨을 부지하며 살아왔지만 아무도 몰래 또 하나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들판과 늪과 숲에서 주운 이끼 낀 돌멩이, 죽은 다람쥐, 깃털, 딱정벌레, 동물 머리뼈 따위에서 자연과 생명의 가치를 배웠습니다.
그래서 자신을 때리고 조롱하고 굶긴 대장장이였지만 자신의 온힘을 다해 치료해주었습니다. 이 부분에서 가슴이 뭉클하고 시대를 잘못 만난 파리크의 운명에 마음이 아파왔습니다.
강한 학구열과 따뜻한 마음을 지닌 파리크가 오늘날 태어났다면 사회를 위해 큰 업적을 세우는 사람이 되었을 거예요. 수많은 역사속 파리크 같은 이들 덕분에 지금 우리들이 과학문명을 누리고 있을 수 있었을 거란 생각도 들었습니다.
로이스 로리의 창조해낸 '사람의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모두 각자마다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으며 그 수많은 이야기들이 인간의 역사를 만들어왔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기억전달자>의 뒤를 이어 길이 기억될 깊은 여운을 남긴 책이었습니다.
<인상 깊은 구절>
우리 모두의 이야기에는 시작이 있고 중간이 있고 결국에는 끝이 있다. 그 과정을 거치며 우리는 모험한다. 화날 때와 절망에 빠질 때가 있고, 멍하니 지루할 때와 소리 없는 만족의 순간들이 있고, 또한 기뻐 어쩔 줄 모르는 날들도 있다. p.16
에스트릴트는 머리카락을 가다듬고 숨을 깊이 쉬면서, 자신의 인생이 바뀔 그날까지 남은 날을 헤아렸다. 에스트릴트의 인생뿐 아니라 마을 여자 아이들 모두의 인생이 바뀔지도 모른다. 에스트릴트의 여동생들과 아직 태어나지 않은 여자아이들의 인생까지도. p.95
사람은 죽기 전에 꼭 용감하고 좋은 일을 한 가지 해야하는데, 우리 외삼촌은 그렇게 했대. 전쟁터에서 다른 전사를 도와줬거든. 용감하고 좋은 일을 했다면 충분히 준비된 채 죽은 거니까, 다른사람들도 슬퍼하지 말아야 한대. 그 사람도, 그 사람이 한 일도 늘 기억될 테니까. p.131
수백…… 수천…… 수백만…… 수십억……. 그 이야기들이 서로 얽히고설키며 이리저리 연결되어, 자꾸만 뻗어 나간 인간 존재의 거대한 총합이자 우리가 역사라 부르는 것이 된다. p.186
사람은 죽은 뒤에도 '누군가가 그를 기억하는 한' 계속해서 살아 있다는 말이 있다. 나는 '그리고 그의 이야기를 하는 한'이라고 한마디를 덧붙이고 싶다. p.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