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산이 젖고 있다
이성선 지음 / 미래사 / 1991년 11월
평점 :
절판


'시 좋아하세요?' 라고 묻는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시? 문학소녀인가 보구나?' 혹은 '나는 시는 가끔 읽긴 해.. 그렇지만 소설을 더 좋아해^^' '음..윤동주나 김소월 시 좋아해..' 등등의 얘기들을 한다.

우리 시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시인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나 또한 '시'를 안다고 할 수 없고, '시'를 많이 읽는다고 할 수 없다. 그렇지만 나름대로 많은 시를, 그리고 더 좋은 시를 읽고자 하고, 또한 좋은 시를 적어보고 싶어한다. 여기서의 '시'는 단순한 감흥이나 느낌에 비롯한 것이라기보다, '시'를 쓰는 이의 삶 자체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나의 주목을 끈다. 그런 점에서 이성선 시인의 '빈 산이 젖고 있다'는 내게 '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성선 시인은 정말 소박한 사람이다. 나는 그를 알지 못하나, 그의 시를 통하여 그의 삶을 느낄 수 있었다. 그는 깨끗하고 맑았다. 이성선의 시들은 시 본래의 느낌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그의 시 속에 주로 등장하는 사물들- 나무와 하늘과 별과 악기...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은 하늘을 향해 팔을 벌리고 선 나무 이상이 없다는 시인의 말. 그런 나무보다 아름답지 못한 시인 자신이 '내가 하늘을 너무 많이 쳐다보아 하늘이 혹시 더러워지지는 않았을까'하는 순수의 본심...

현대에는 많은 시들이 쏟아지듯 나오고 있다. 사람들이 흔히들 좋아하는 연애 시집류-류시화나 원태연 류의 시들-또한 아름다울 수 있다. 또한 시의 본류를 깨뜨리고 새로운 형식을 주창하는 시들도 새롭고 신선하다. 그렇지만 우리의 삶을 이야기하고, 더욱 더 깨끗한 마음을 노래하는 본래적 시형의 시는 오히려 우리 시대, 산문보다 짧은 '시'의 순수로, 넘쳐나는 형식 파괴와 내용 변혁의 시 속에서 '시' 본래의 모습으로 빛날 수 있지 않을까.

시를 읽지 않고, 시를 알지 못하는 현세대에 교과서에 나오는 시인이 아닌, 단순한 베스트셀러를 내는 시인이 아닌, 소박한 순수를 담은 시인의 이름 하나를 기억할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면 좋겠다. 시를 좋아하는 것이 단순히 감상에 젖어들어 눈물 촉촉한 여고생적 감수성으로 치부되는 것이 아니라, 따뜻한 사랑으로 감싸질 수 있으면 좋겠다. 아름다운 시 한 편은 마음을 씻는 순수의 약이다. 마음이 병들어가는 슬픈 어둠 속, 시 하나가 빛이 된다. 나와 너가 웃음으로 이어지는 세상, 우리 하나하나가 하늘의 연주를 잇는 나무가 되어, 하나의 산을 이룰 수 있는 세상..

빈 산이 젖고 있다..
나무도 함께 젖고 있다...
나무가 된 우리 모두가 하나씩, 하나씩, 젖어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