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 - 창의적인 삶을 만드는 뇌과학자의 생각법
모기 겐이치로 지음, 이진원 옮김 / 샘터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사진 속 미니매직볼.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며 속상해하던 아이. 최근 한참을 접더니 성공했다며 뇌에서 도파민을 탄산처럼 터뜨렸을 초등학생의 종이접기 작품이다. 올해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아이는 자기 욕구대로 종이접기에 빠져들었다. 유선생님(유튜브)과 함께.

🗂 체크리스트! 내 두뇌, 위험하지 않은가?

✔️매일 무사히 잘 살고 있는 느낌이 드는가?
✔️너무 바쁜가?
✔️최근 불안도 두근거림도 별로 느낀 적이 없는가?
✔️”아무 거나 괜찮다”, “어디든 좋아”라고 대답하고 있는가?
✔️같은 행위를 반복하고 있는가? (좋아한다고 인식하는 대상만으로 생활하는가?)

🔙 다시 스스로를 돌아보고 ‘욕구’에 주목하자.

최근 몇 년간, #구름학교 (교사들이 스스로 주체가 되어 만든 비영리교육단체) 선생님들과 주체적인 삶을 위해 스스로의 무의식에 내재된 ‘진짜 욕구’를 찾는 연습을 많이 했다. 교사가 주체적인 삶의 욕구를 깨우치면 그 태도와 생각이 함께 공명하여 교실 속 아이들의 삶을 변화시켜나갈 수 있을 거라고.

그런데 이 책에서 두뇌의 구조를 바탕으로 ‘무의식이 보내는 편지’를 읽듯 뇌의 ‘욕구’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읽으니, 그 동안의 노력과 고민들이 뭔가 선명하게 입체화되어 맑아지는 느낌이 들었다. 잠시 멍때리는 시간을 가지며 무의식의 소리를 들으니 진짜 하고 싶은 것들이 생각나서 세 가지를 메모했다. 모두 몸과 관련된 욕구였다. 신체와 관련해 무의식이 보내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음을 깨달았다.

비유적이지만 욕구를 떠올릴 때 가슴 뛰는 ‘심장’만 생각했다면, 이 책을 읽으며 활성화하지 않았던 ‘두뇌’ 회로를 탐색해가는 느낌이 들었다. 건드리지 않은 건반을 하나씩 두드려가듯. 생각지못한 음이 머릿속에서 울려나오는 소리에 나는 나를 돌아본다. “나는 내 인생을 주도하고 있는가, 자신의 욕구를 깨닫고 있는가?”

책을 덮으며 모든 경계가 허물어져 사라지고 자유로이 유영하는 영혼을 상상한다. 나이의 경계, 교과목의 경계, 분야의 경계... 고정관념과 편견이 허물어지는 넓은 세상에서 좀 더 대담하게 놀고 싶다. 집요하고 끈질긴 호기심으로, 무시했던 무의식의 뇌까지 예뻐해줘야지!

✔️ 책의 몇 가지 디테일.

▪️자기계발 에세이처럼 편안하게 읽히는 뇌과학책으로, 인문학적 성향이 짙은 책. 삶의 주인으로 살고 싶은 사람, 교육 분야(자녀교육 포함)에서 욕구를 발견하고, 두뇌를 잘 활용해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배우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
▪️챕터마다 핵심 내용 페이지가 있다. 읽은 후 다시 훑어보기 편리한 구성. 뇌과학적 원리인가?
▪️페이지 숫자가 오른편에 두 장 함께 적혀 있는 디테일, 사소한 것 같지만 깔끔하고 나란한 편집.
▪️번역서인데도 불구하고 편안하게 읽힌다. 옮긴이의 그간의 책들이 뇌과학 분야의 책들이 많았다. 저자의 집필 성향이 크겠지만, 해당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편안하게 읽을 수 있게 번역해주신 것 같다.

______
샘터로부터 제공받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