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벽의 세계사 -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비판적 사고력 시리즈
그레거 크레이기 지음, 아르덴 테일러 그림, 최영민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와 차례를 보고 더욱 끌려 얼른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었다. 이전에도 출판사에서 낸 '아름다운사람들'에서 <비판적 사고력>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비슷한 느낌이 물씬 풍겼다. 어린이들이 교양을 쌓았으면 하는 마음에 낸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장벽'이라는 키워드로 주제를 묶어 어린이책을 만든 작가의 기획력이 놀라웠고 친근한 말투를 선택한 세심한 배려가 돋보였다.

책의 내용을 읽고 이미지를 보며 기억하고 싶은 부분을 세 군데 꼽아 보았다.

가장 먼저 소개하고 싶은 부분은 '콘스탄티노플의 도시 장벽'이었다. 자연스레 역사적 배경이 따라오고 그림과 사진 이미지까지 더해 자세한 내용을 더욱 알고 싶어지는 듯했다. 어린이들에게 빨리 이 책을 보여주어 느낌이 어떤지 물어보고 싶다. (어린이라고 한정하기보다 어떤 어린이인지에 따라 너무 다를 것이라는 걸 알고 있다. 어느 정도 세계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으면 읽으려고 할 테고 왜 이렇게 글씨가 많은지, 또 공부를 시키려는 속셈인가 보다,라며 투덜댈 아이들도 많다는 걸 알고 있다.)

그래도 기억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서 책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본다.

63쪽

천 년을 버틴 장벽

콘스탄티노플은 매우 전략적인 위치에 있어요. 유럽과 아시아 대륙 사이의 경계를 구성하는 보스포루스 해협이라는 곳이었죠. 수세기 동안 수많은 군대가 콘스탄티노플과 비잔틴 왕국이라 알려진 동로마 제국을 정복하려다가 실패했어요. 하지만 장벽은 처음 지어지고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굳건하다가,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자신들의 수적 우세를 내세워 6주간의 포위 작전으로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키면서 뚫려버렸죠. 장벽이 결국 정복당하자 제국은 무너졌어요.

아직도 이 장벽이 건재하고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싶어서 방문하는 관광객이 많다니 흥미롭다.

두 번째로 눈길을 끌었던 장벽은 '인도의 그레이트 헤지'였다.

앞에서 보았던 딱딱하고 강해 보이던 장벽과는 달리 갑자기 선인장이 보였다. 다른 장벽들처럼 세워지지 않았고 길러진 장벽이다. 1800년대에 인도 많은 지역에 더불 장벽이 만들어졌다. 정원을 만들기 위해 마련된 선인장 덤불이 아니라 영국인 식민지 지배자들을 위해 실용적인 목적을 수행했다고 한다. 소금 세금처럼 돈을 거둘 수 있어서 '소금 울타리'로 불렸고, 세금을 내지 않고 울타리를 통과하거나 소금을 갖고 가는 사람이 없는지 감시했던 장소라고 한다.

이 정보와 함께 소금에 세금을 부과했던 이유도 담겨 있어서 어린이들이 호기심을 보이며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의 녹색 장벽'이 눈에 들어왔다.

사하라 사막의 사막화를 막기 위해 나무를 세우겠다는 야심한 계획이다. 2030년까지 1억 헥타르의 불모지에 생명을 되찾고 지속 가능한 농업과 에너지 산업에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거라고 예상한다는데, 꼭 계획이 이루어지기를 손꼽아 바란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지식도 좋고 교양을 쌓는 일도 중요하지만 어떠한 쪽으로 가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다시 느끼게 된다.

주제에 따른 여러 세계사 내용은 선별적으로 훑어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느껴진다.


* 출판사에서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인 생각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