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밀도 - 나를 나답게 하는 말들
류재언 지음 / 라이프레코드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단 책을 신청하며 기대가 많이 되는 책이 있다.

류재언 변호사의 <대화의 밀도>는 참 궁금했다. 협상의 달인이라는 변호사가 써 내려간 에세이라니. 운 좋게도 원하던 책을 받을 수 있었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누군가를 봤을 때 그 사람만의 느낌이라는 게 있다. 이건 여러 요소에서 풍겨 나오겠지만 어떤 이의 말이 주는 인상은 꽤나 크다. 훌륭한 외모로 호감을 샀던 사람도 입만 열면 점수를 깎아먹는 경우도 더러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대화는 어떠한 지를 어렵지만 객관적으로 생각해 보려 한다.


대상에 따라 장소에 따라 대화의 내용과 말투, 비언어적 요소인 눈짓이나 표정, 손동작까지 참 많이도 다르다.

페이지를 넘기며 공감되고 진작 알았으면 좋았겠다 싶은 내용이 정말 많았다. 이런 책은 천천히 오래 읽고 싶다.


원래 에세이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 책은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고 따뜻함이 느껴진다.

특히나 공감이 많이 되는 부분은 감정에 대해 다룬 부분이었다.

”감정이라는 것이 하루에도 열두 번 오르락내리락 한다. 그 감정의 정점에서 뱉은 말은, 메시지는 사라지고 불덩이같은 감정만 전달된다. 상대는 내게 공격당한 느낌만 받는다.“


여러 가지 에피소드가 생각난다. 감정이라는 요놈은 참 애물단지 같다. 감정이 참 중요하다고들 하지만 과해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나면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타인과 대화를 할 때 감정을 잘 실으라고 하지만 '적당히'는 언제든, 뭐든지 어렵다. 과하지 않아야 하고, 또 너무 배제하면 요즘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로 로봇이냐고 놀리기 일쑤다.


이 책에서는 '감정 예약 발송'이라는 걸 활용하라고 말한다. 극한 감정상태에서 질러버리고 싶은 마음을 잠시 접어두고 글로 먼저 하고 싶은 말을 정리하는 방법이다. 일단 쓴 글을 시간을 두고 다시 읽어 본 다음, 그래도 문제가 없으면 발송하라는 거다. 참 괜찮은 방법이다.


요새 몸 상태가 별로라 글을 별로 쓰지 않았지만 이 방법을 블로그에 글을 쓸 때 활용해야겠다.


일단 쓴 글을 예약을 걸어둔 다음, 다음에 읽어 보고 너무 감정이 과하지 않은지 찬찬히 생각을 해보면 글도, 감정도 조금씩 나아지려나?


대화라는 게 참 이상하게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보다 비언어적인 요소만이 강렬하게 남는 경우가 많다. 한 사람의 눈빛이나 목소리, 손짓, 그 모든 걸 담는 분위기 등.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글에 능통하지만 실제로 말을 해보면 생각보다 실망하는 경우도 있다.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유명하다고 하는 책의 저자들의 북토크를 열심히 쫓아다닌 적이 있었는데 대부분 실망스러웠다. 그러고 보면 나는 작가들의 내용보다 비언어적인 요소에 더 치중하지 않았나 이제야 생각이 든다.


또 한 가지 마음에 들었던 글감은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한 이야기다. (참 신기하게도 오늘 오전에 번역 스터디를 같이 하는 친구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우리가 꾸준히 열심히 해야 한다고 사기를 진작하다가, 한 친구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 습관이나 글 쓰는 태도를 이야기했었는데 오늘 딱 같은 내용을 책 속에서 마주했다. 이럴 때 나는 너무 신난다!)


워낙 다작을 하는 작가로 유명하지만 그의 달리기, 그의 평소 생활 습관에 대한 이야기가 페이지를 채운다. 꾸준히 뭔가를 하기 위해 하루키가 조언한 방법을 나도 적용하고 싶다.


마음가짐 하나, 목표를 세운다.

마음가짐 둘, 오버하지 않는다.

마음가짐 셋,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든다.


두고두고 되새기며 말로만 하고, 머리로만 생각하지 않고 적용할 조언들이다.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묘비 명 / 대화의 밀도


매일매일 글을 쓰고 달리는 하루키가 자신의 묘비 명으로 선택한 문장이라고 한다. 우와! 뭔가 예상을 뒤집으면서도 이 문장 자체를 자꾸만 음미하게 된다. 어떤 뜻을 전달하고 싶은 걸까 궁금하다.

마지막으로 내게 절실하게 필요한 '휴식'에 대해 말하는 구절을 집중해서 읽었다.

몸은 가만히 있지만 머리가 끊임없이 돌아가는 순간도 실상은 쉬지 못하는 상태라니 꼭 기억하고 싶다.

또한 아무것도 않고 가만히 있으면 오히려 머릿속이 복잡해질 때도 있어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행동을 하다 보면 그 행동에 골몰하느라 잡다한 생각이 달아난다고 하는데, 그때 비로소 '아주 잘 쉬고 있다'라는 느낌이 든다고 한다. 맞다! 나에게 꼭 필요한 조언이다.

다음 달에 업무는 더 늘어날 예정인데, 잘 쉬는 방법을 계속 떠올리며 단순한 행동도 찾아보고 싶다. 아마도 색연필로 끄적거리는 단순한 그림 그리기를 취미 삼아 해볼까 하는데, 절대 심취하지는 않을 거다.ㅋㅋ 나에겐 절대적인 휴식이 필요하다!!

책을 읽으며 뭔가를 꾸준히 하려는 마음가짐, 감정을 잘 조절하는 방법, 완전히 휴식하기에 깊이 공감하며 실천하고 싶은 의지가 샘솟는다.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인 견해를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