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잉게베르트 C.헤넬 / 한국신학연구소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틸리히는 20세기에 있어서 하나의 위대한 철학적, 신학적 사상가이다. 이 책은 분명 하나의 <사상사>이지만, 다른 편으로 생각하면 틸리히의 사상이 제대로 드러난 장(場)이기도 하다. 이것은 그리스도교의 사상의 단순한 흐름에 대한 서술이 아니고, 틸리히의 독특한 해석과 평가가 그대로 드러난 그리스도교 사상에 대한 틸리히의 평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사상의 역사를 통한 그의 사상의 또 하나의 표출이다. 그래서 우리가 이 책을 읽어 가노라면 과거의 사상의 유산에 관심을 쏟기보다는 '오늘'과의 의미 연관에서 '어제'를 새롭게 평가해야겠다는 유혹을 강하게 받게 된다. ... 틸리히가 그리스도교 사상의 철학적 근거를 찾고, 역사적 맥락을 짓고,삶의 실존적, 역사적 의미를 묻는 그의 방법과 내용은 정말 탁월하다. 우리는 이 학문적인 자세를 익히는 훈련을 위해서도 이 책을 정중히 대해야 할 것이다.  (옮긴이(송기득)의 뒷말, 441-442쪽)

틸리히는 이 책의 제일 마지막에서 이렇게 말한다. "새로운 신학은 통일적으로 발전하면서 바다처럼 모든 나라에 파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렇지 않았다. 새로운 운동은 언제나 반대의 운동을 일으키는 법이다. 그 결과 신학의 발전은 전체로서는 늘 커가고 있기 보다는 오히려 끊임없이 드나드는 밀물과 썰물과 같다고 비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전의 모든 국면에서 한 가지 물음이 문제가 된다. 그것은 어떻게 해서 그리스도교적 메시지를 현대적 인간의 정신으로 결합시킬 수가 있겠는가 하는 물음이 그것이다. ... 이 물음에 대한 나의 대답은 종래의 종합과는 구별된다. 내가 밝히려고 시도하고 있는 것은 그리스도교의 메시지가 휴머니즘의 자기 비판에 의해서 제기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 해결을 제시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은 종합도 분리도 아니고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과의 동일화나 괴리도 아니고, 상관(Correlation)이다. 그리스도교 사상의 역사는 바로 이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고 나는 믿는다.(435-436쪽)" 

이러한 틸리히의 언급대로 그의 그리스도교 사상사의 서술은 실존적 물음이 그 기저에 자리잡고 있다. 오늘과의 의미 연관 속에서 그리스도교의 메시지를 다시 이해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실존적 물음은 그리스도교의 메시지를 단순히 시대별로 존재했던 하나의 신학적 체계, 사고방식, 교리적 진술로 국한짓지 않는다. 대신 틸리히는 이 모든 것을 교회가 처했던 현실적인 삶의 훌륭하고도 뜻 깊은 표현(25쪽)으로 바라본다. 그 속에서 그리스도교 사상은 오늘의 삶을 반추하며 내일을 향해 또 다른 질문과 대답을 열어주는 삶의 진솔한 표현으로 열리게 된다. 또 하나 주목해 볼 수있는 점은 틸리히가 그리스도교 사상사의 흐름을 크게 두 가지 경향의 대립으로 제시한 점이다.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과 아리스토텔레스적 경향이다. 틸리히는 이를 기준으로 자신의 범주를 밝히기도 했다. 자신을 "종교철학에서 본다면 아우구스티누스적, 반아리스토텔레스적, 반토마스적인 경향의 범부에 넣을 수가 있을 것"이지만 "형태의 철학자로서, 형태의 신학자로서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더 가깝다"고 말이다. (184-185쪽) 틸리히의 사상사 서술에서 아우구스티누스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교해 보면 그 비중이 상당하다. 한 개 장이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거의 할애되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비슷한 분량으로 할애된 장이 마틴 루터에 관한 내용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비중을 고려해 본다면 틸리히는 그리스도교 사상사의 큰 맥락을 루터와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교 사상 이해를 위해서는 아우구스티누와 루터를 반드시 자세하게 읽어봐야 하는 필요를 새삼스럽게 느껴본다. 마지막으로 간간히 틸리히가 사상사의 맥락을 간략하게 정리하는 것을 읽는 즐거움을 말할 수 있겠다. 13세기 중세교회의 신학적 흐름을 틸리히는 이렇게 정리했다. "이성과 계시의 대립이라는 전통적 도식으로 표현한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보나벤투라는 이성 그 자체는 계시에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이성이 그 안에 진리의 여러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생각한다. 토마스는 이성은 계시를 파악할 수 있는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둔스 스코투스는 이성은 계시에 대해서 부족합하다고 생각한다. 옥캄은 계시는 이성과 서로 아무런 접촉점도 없이 병립해 있다고 본다." (288쪽) 이러한 간결한 정리가 간간히 등장한다. 거장 신학자의 무게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