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학의 탄생 - 철학, 종교와 충돌하다
미셀 옹프레 지음, 강주헌 옮김 / 모티브북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미셀 옹프레는 프랑스의 한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다. 그는 많은 철학 관련 책을 썼는데, 도발적인 글쓰기는 그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 책 또한 매우 도발적인 내용과 문체가 동원되고 있다.

그의 기본적인 관점을 자유주의적이고 쾌락적인 유물론으로 정의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 책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꼭 틀린 말은 아니다. 아무튼 그는 이 책을 쓴 목적을 “실질적인 내재론, 또는 유물론적 존재론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함”(23쪽)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유물론적 존재론의 타당성을 따지려 들거나 그의 유물론이 천박한 것인지 아닌지를 따지는 것은 사실 무의미하다. 그것이 어떠하든 이 책의 핵심적인 가치는 손상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저자는 “전투적인 무신론자를 키워야 한다”(299쪽)는 매우 솔직한 관점에서 이 책을 쓴 것이기도 하지만, “자신들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는 계기”(303쪽)가 되길 바란다는 그리스도교도인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의 주요 논박 대상인 세 일신교의 성직자들까지도 충분히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이 책의 가치를 더해주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그의 문체에서 풍기는 맛과는 조금 다른 저자의 지적 노고다. 그는 이 책을 위해 수많은 분야의 학문을 동원했다. 심리학, 정신분석학, 고고학, 고문서학, 역사학, 신화학, 미학, 경전해석학, 언어학, 철학 등의 지식이 이 책을 위해 사용되었다.

‘무신학’은 저자가 지어낸 말은 아니다. 사상가이자 소설가이도 한 조르쥬 바타유가 1950년 3월 29일 레이몽 크노라는 사람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사용된 단어다. 그 편지에서 바타유는 출간 예정인 자신의 총서에 <무신학 전서>라는 제목을 붙이기로 했다고 썼다. 반면, ‘무신론’이라는 단어는 1532년에 처음 등장했고, ‘무신론자’라는 단어는 기원후 2세기에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쓰였다고 한다.

그러면 최초의 무신론자는 누구였을까. 일단 기준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최초의 사람이 바뀔 수도 있다. 일단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역설한 사람, 그리고 이를 확신하며 분명하게 글로 남긴 사람 가운데 최초의 사람을 찾아야 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포르투갈 출신의 예수회 수도자였던 크리스토바오 페레이라를 꼽는다. 그는 1636년 <기만의 폭로>라는 책을 통해 기독교에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그리고 종교 일반의 기만성까지 까발렸다. 그는 종교가 인간이 인간에 대한 지배권을 보존하려고 만들어낸 창조물에 불과하며, 이성은 종교라는 쓰레기와 싸우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도구라고 썼다.

그렇지만 기독교에서 선불교로 개종한 그는 여전히 신의 존재를 부정하지는 않는 영성주의자였기 때문에 최초의 무신론자로 보긴 어렵다고 저자는 결론짓는다. 대신 그는 최초의 무신론자로 장 멜리에 신부(1664~1729)를 지목한다. 장 멜리에 신부가 죽고 나서 발견된 <유언>이라는 책에서 유물론적 철학과 무신론이 명확하게 역설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무신학의 목표를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는 세계를 지배하는 세 일신교의 해체다. 둘째는 각 종교의 성립사를 추적하여 거짓 신화를 깨뜨리는 것이다. 셋째는 신정정치의 해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며 “기독교 이후 시대를 끌어갈 진정한 도덕적 조건을 구축해야 한다”(99쪽)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모든 종교를 동등하게 평가하는 세속인 사이에 보편화된 상대주의적 관점을 일갈한다. 그는 “미신적 생각과 합리적 생각, 신화와 논리적 이야기, 기적과 과학적 사고 등이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297쪽)고 생각하는 상대주의가 오히려 폐해를 낳을 것이라며 비판한다.

그리고 이렇게 끝맺고 있다.

“세 일신교의 미신적 가르침에 맞서 계몽주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최후의 전투를 앞두고, 탈기독교를 지향하는 세속의 세력, 즉 무신론자를 양성해야 한다. 이미 결판난 전투일 수도 있지만 세계의 장래를 위해서라도 다시 전투를 준비해야 한다. 서구의 유대교, 기독교 사회와 그에 맞선 이슬람 사회 간의 양자택일을 과감히 거부하는 전투적인 무신론자를 키워야 한다.”(298~2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