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를 숙여 발끝을 바라보고 있는데, 옆의 사내가 읽고 있던 스포츠 신문을 내려놓은 후 담배를 한 모금 빨더니 유리 재떨이에 비벼 껐다. 치지직, 소리를 내며 불 꺼진 담배꽁초를 바라보고 있노라니 이상하게 나의 감정도 식어갔다. 중개인이 수화기를 내려놓고 입가에 주름을 만들며 팔걸이의자에 팔을 올려놓았을 때에는 모든 게 정리된 기분이었다. 소파에 앉은 채 나는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저······ 방을 좀 구하려고 하는데요.”
내 말에 사내가 고개를 끄덕이면서 말했다.
“지금 나온 집이, 보자······.”
이곳에 집을 구해도 상관없을 것이었다. 혼자지낼 만한 조그만 방을 구한다는 내 말에 잠시 서류를 뒤적이던 중개인이 이내 10평의 자그마한 원룸을 추천해 주었다. 지대가 높아서 좀 불편한 게 사실이긴 하지만, 하고 중개인이 설명했다. 전세가 싼 대신에 월세는 56만원이었다. 또 다른 집은 지하단칸방이었다. 나는 두 군대 다 기억해 내려 애써 보았다. 어렴풋이 스쳐가던 당시의 뿌연 영상이 중개인의 말에 흩어졌다. 지금 약속도 잡혀있고, 시간도 저녁 무렵이니 집은 내일 보여주겠다는 중개인의 말에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약속은 이튿날 2시로 잡혔다. 명암을 받아들며 적힌 번호로 연락하겠다고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나는 묻고 싶었던 질문을 던졌고, 중개인은 잠시 생각하더니 사무적으로 짧게 대답했다.
“음, 전에는 금은방이었어요.”
금은방 전에는 무엇이었는지 주인도 더 이상 알 수 없으리라. 6년 동안 온갖 자영업자들이 이곳을 거쳐 갔을 것이다. 뒤돌아서려는데 월간 지를 뒤적이던 소파의 사내가 기억났다는 듯 불쑥 내뱉었다.
“아, 그 전에 화장품 가게였지. 화장품 가게.”
“그랬었나?” 중개인이 코를 문질렀다.
“그럼, 혹시, 화장품 가게 전에는 뭐였는지 아세요?”
나는 좀 더 자세히 물으려 그에게 몸을 기울였다.
“근데 왜요? 무슨 사정이 있어요?” 중개인이 끼어들었다.
더 이상 나는 묻지도 대답하지도 않았다. 고맙다고 꾸벅 인사하고는 문을 열었다. 그 전에 명함을 하나 받아 쥐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몸이 물 먹은 해먹처럼 급작스레 무거워졌다. 거대한 자석에 이끌려가듯 나의 두 발은, 그 당시 한 번도 발을 들여놓은 적 없었던 공원으로 내딛기 시작했다. 그제야 나는 양 손의 허전함을 알아차렸다. 비닐우산이 사라지고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