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2층에서 ‘관계자 외 출입금지’ 너머에 기식하는 사내를 알게 된 건 2주가 지날 무렵이었다. 스티커를 붙이다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만수 형이 손가락을 둥글게 말아 입에 대는 시늉을 하면서 나를 불렀다. 형을 따라 맞은편 문짝을 열고 들어서자 예상과는 달리, 공간은 휑했다. 희멀건 냉장고 하나랑 컴퓨터 한 대, 텅 빈 책장 한 개가 전부였고, 그 옆에는 또 하나의 문이 무심히 놓여 있었다.

“자자, 설렁탕 먹고 설렁설렁 하자아. 히힛..”

깨어진 양주병 옆에 놓인 버너 불을 조절하던 만수 형이 고개를 돌려 소리쳤다.

“만장이 형! 어서 나와! 다 됐어! 큼큼.”

그러자 녹슬어 삐걱거리는 문에서 한 사내가 모습을 드러냈다. 수염을 5일 정도 깎지 않은 듯한 얼굴이었다. 문턱에 서서는 기지개로 하품하고, 어깨를 두드리며 자리에 앉은 후, 흐리멍덩한 눈빛으로 담배를 입에 무는 일련을 동작을 취하는 동안, 자신에게 온통 집중한 때문인지, 그는 나를 보지 못한 것 같았다. 내가 보이지 않았거나. 만수 형이 나에게 턱짓으로 사내를 가리키며 웃었다.

“이 형, 인생의 낙오자야. 낙오자. 큼큼.”

“낙지라 그래라 이 새끼, 손님에게 할 말이 따로 있지.”

“손님이 아니라 우리 식구지. 또 하나의 가족, 삼성전자.” 

  다시 침묵이 흘렀다. 젓가락질을 하는 줄곧 그 사내는 말이 없었다. 입 안으로 후루룩 말려가는 설렁탕면의 면발 소리만이 요란했다. 나에겐 점심이었고 그들에겐 안주였다. 유리조각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연거푸 양주를 들이켜던 사내의 얼굴이 이내 불콰해졌다. 깨진 양주병의 주둥이를 흘깃거리는 나의 불안한 시선을 읽었는지 만수 형이 트림을 꺼억 내뱉었다.

“야, 먹어도 안 죽어. 큼큼. 먹고 안 죽으면 보약이야. 큼큼.”

“암, 양주가 보약이지.”

사내가 다르게 맞장구쳤다. 만수형의 설명이 이어졌다.

“한번 씩 택배 물건이 깨지는 수가 있어. 유리처럼 부서지기 쉬운 물건들 말이야. 큼큼. 그날은 봉 잡는 거지. 봉. 큼큼. 형, 그만 마셔. 한 번에 다 먹을 거요? 좀 애껴 먹어야지. 큼큼.”

“어, 시원하다.”

국물을 꿀꺽꿀꺽 넘기는 그의 목젖이 출렁거렸다. 담배를 바닥에다 비벼 끈 만수 형이 다시 턱짓으로 사내를 가리켰다.

“이 형 이름이 뭔지 알아? 파란만장이야. 파란만장. 큼큼.”

라면과 양주를 위 속에 가득 채우자마자 사내는 나에게 꾸벅 고개를 숙이고는 이내 문 너머로 사라졌다. 만수형의 설명에 의하면, ‘만장’이라 불리는 사내는 대학을 졸업한 25살 이후로 전자대리점부터 술집까지 온갖 장사와 사업을 시도했으나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