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가 된 호랑이 파랑새 그림책 155
송수정 그림, 이윤희 글 / 파랑새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호랑이가 악기가 되었다?

표지의 그림과 제목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아빠가 한번 읽어주니 글을 조금씩 읽기

시작한 수아가 동생에게 읽어준다.

 

 

 

 

 

 

 

 

아이에게 전래동화를 읽어 줄때 옛날옛적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이야기를 해준적이 있는데

그림책을 펼치니 아빠가 들려준 그 호랑이가 있다.

 

긴 곰방대에 담배를 태우는 호랑이..ㅋ

 

아이와 아빠를 그림책에 빨려들어 가게 만드는

아주 재밌는 장면이다...

 

멋지게 노래를 부르고 싶어 하는 호랑이...

멋진 목소리를 위해 좋아하는 육식도 마다한채

꾀많은 여우가 조언한 말을 믿고 시냇물로

배를 채운다.

당연 배가고파 목소리는 더 작아지고,,,

 

개구리는 입을 작게 오므려 가슴 깊은 곳에

있는 맑은 소리를 끌어 올리라고 조언한다.

목소리는 더 갸냘퍼가고,,,

 

종달새는 노래는 아무나 하냐며

면박을 주고 날아간다.

 

 

하지만 결코 포기 하지 않는 호랑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날마다 노래 연습을 한다.

노래연습에 점 점 지쳐갈 쯤

 

모든 것을 지켜보던 하나님께서

몸으로 소리를 내보는 것은 어떠냐는

말에 호랑이는 그저 싱글벙글...

 

하나님의 도움으로 호랑이의

간절한 소원은 이루어진다.

 

드디어 나무 호랑이로 변신하여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었다.

 

이 악기가 바로

우리나라 전통악기인 '어'이다.

 

그림책을 읽으면서 꿈을 포기 하지 않으면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이 들어 있다.

 

아직 아이가 다 이해할 수 없을거다

아이가 꿈에 대해 생각할즘 이책을 들고

다시 읽어주며 이야기해주고 싶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용납하기

어려워하는 아이의 모습을 본다.

 

더 많은 관심과 따뜻한 칭찬과 격려로

실수를 용납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것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주는 아빠가 되고 싶다.

 

별난(?) 호랑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자신을 믿고 꿈에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불어 넣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들아, 오늘도 너의 꿈을 세상에 그리렴! - 자폐성 장애인을 둔 가족에게 보내는 응원과 희망! 세상에 너를 보여줘 시리즈 1
자폐행복센터 기획, 박선영.임경신 글, 한부열 그림 / 카모마일북스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모마일북스

<세상에 너를 보여줘>시리즈

자폐 장애를 극복하고 재능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우리 아이들의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찾아주고 한다.

 

세상에 너를 보여줘

시리즈 1탄은

 

재능으로 자폐를 극복한 라이브 드로잉 화가

한부열의 성장스토리를 담았다. 

 

이책은

자폐성 장애인을 둔 가족에게

보내는 응원과 희망가이다.

 

자폐라는 장애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이 책을 보기 전에 먼저

자폐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자폐는 뇌기능의 손상으로 의사소토와 사회성의

어려움이 있고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지인의 자녀중에 뇌성마비를 앓고 있는 아이가 있다.

그 가정을 바라보면 어려움이 참 많겠다 싶은데

감사하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본다.

어려움을 통해 한층 더 성숙된 인격과 믿음을 소유하게

됨을 알게 되었다.

 

책으로나마 장애를 가진 부모의 심정을

느껴보고자 이 책 들게 되었다.

말이 늦어 찾아간 병원에서

자폐진단을 받은 한부열작가.

 

어머니는 엄청난 충격에 휩싸인다.

오랜 기다림 끝에 천사와 같은 아이를

만났는데 자폐라니...

 

"아이가 태어났을때의 가장 큰 기쁨의 순간과

믿을 수 없는 자폐진단을 받은 가장 극심한 순간의

심정 격차는 이루 말 할 수 없었다." 

-25p

  

어린시절 단체생활에 통제가 어려워

유치원도 다니기 힘들었다

유아교육을 하는 언니의 조언을 통해

통합교육이 없는 일반유치원에 보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몬테소리 교구로 아이의 방을 꾸며

단국대 특수교육과 학생 선생님을 통해

1:1 수업을 받았다.

늦은 언어발달로 9살이 되어서야 비로소

의미가 담긴 엄마라는 단어를 쓸 수 있었다.

 

초등학교때에도 담임선생님을 찾아가 간곡한 부탁으로

아이와 함께 수업을 들을 수있었다고 한다.

 

어떻게든 학교는 다녀야 한다는 엄마의 열망이

정말로 놀랍다. 그 정성을 선생님들도 감동을 받아

아빠의 사업으로 사우디로 온가족이 거쳐를 옮겼을때도

한국국제학교인 제다학교에서도 엄마와 함께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그곳에서 만난 교장선생님은 함부열 작가의 재능을 알아보시고

여러모로 도움을 주셨다.

 

그림그릴때 가장 행복하다는 함부열작가.

생애 첫 라이브 드로잉을 해낸 아들의 모습을 본

엄마의 심정은 어땠을까?

 

어려운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흘러지나가

감동의 눈물을 흘리지 않았을까 싶다.

 

책을 읽는 내내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했다.

 

그림재능을  통해서 자폐의 틀을 극복하고 세상으로

힘차게 내딪는 발걸음이 너무 멋지고 아름다워보인다.

 

장애의 부족함과 결함을 해결해 나가려고 하기보다

좋아하고 잘하는 것에 촛점을 맞추고 계발시켜 행복한

성공을 이루어낸 멋진 모습을 보면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도

아이의 부족함보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관심있게 관찰하고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책의 뒷부분은 한부열 작가의 그림이 소개되어 있다.

그림을 잘 모르지만 작가의 인생스토리를 보고 다시

그림을 보니 따뜻한 무언가가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새 잡으러 갈까? 햇살그림책 (봄볕) 3
배종숙 그림, 정주일 글 / 봄볕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을 읽어주려고 하니

어린이집에서는 이렇게

시작을 한다고

동화송(?)을 불러준다.ㅋ

 

 

 

 

 

참새 잡으로 갈까?

 

아이들에게 아빠가 어릴적 어떻게 놀았는지

이야기 해주고 싶은 마음이 많이 든다.

아빠 어릴적과 지금 아이들의 놀이 환경은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말로는 이해하지 못할 이야기들을

그림책의 도움을 받아

이야기를 꺼낼 수 있게 되었다.

 

주인공 원이는 할아버지댁에 가면

냇가에서고기를 잡고

다람쥐를 잡으로 산을

쏘다니는 개구쟁이다.

 

아빠 어릴적이랑 너무 흡사해서

아빠가 그림책에 쏙 빠져버렸다.

 

책의 저자는 정주일님은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나

아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다

그림책 작가가 되었다고 한다.

 

아버지와 함께 보낸 어린시절을

아들에게 들려주고자한

그 마음이 내게도 감정이입되는 듯하다.

 

 

 

 

 

 

 

잡힐듯 잡힐듯 잡히지 않는 참새를

잡기위한 원이의 작전...

오줌을 참아가며

숨죽여 기다리는

아이들의 모습이

참 흥미진진하다...ㅋ

 

어릴적 겨울추위를 피해  

하우스로 들어온 참새를

몰아 잡고,

덫을 세워놓고 먹이를 뿌려놓고

참새가 먹으려할때

줄을 잼싸게 잡아

참새를 잡던 그때의 기억이

떠오른다.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내내

아이와 함께​

아빠는 추억 여행을 떠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골목이 데려다줄 거예요 신나는 새싹 15
길상효 글, 안병현 그림 / 씨드북(주)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골목이 데려다줄 거예요/ 씨드북]

"사라져 가는 골목을 되살리자는 이야기는 아니예요. 그저, 골목이 있었던 이야기예요. 아직 어딘가에 이런 골목 하나쯤은 남아 있을지도 모르고요..."
아빠 어릴적 골목길 놀이문화는 아이 놀이의 거의 전부였다. 학교갔다 오면 가방을 집에 던져놓고 동네 공터로 달려간다. 거기엔 이미 동네 형들과 친구들이
자치기며 깡통차기, 딱지치기,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하고 있다. 어릴적엔 깍뚜기로 좀 더 커선 당당하게 일원으로 참여해서 골목을 주름잡았던 그 때 그시절,
아이들에게 이런 골목길 문화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그림책이 있어 참 좋다. 한편으로 이젠 사라져버린 그 골목길 놀이문화를 전해주지 못한 미안함이 있다.
엄마이신 저자역시 아이들에게 골목의 추억을 이야기한다. 아이들을 앞에 앉히고 골목이 무엇인지 말해주었다. 그리고 어떻게 놀았는지도...
"집들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붙어 있는데 그 사이를 골목이라고 말한단다."​ 아이에게 말해주었다.

 

작은 집들이 많아지면 골목이 좁아지는데 다정한 사람들이 옹기종기 많이 모여 살수록 골목이 좁아진다고 표현했는데, 그 표현이 너무 사랑스럽다.

골목이 데려다 준다는 표현이 아이에게는 쉽지 않을테지만 어디로든 누구에게든 데려다 주는 골목이라고 생각하니 참 신선하다.

 

 

 

 

 

 

 

지나가기만 해도 놀이터가 되고 언제든 함께 놀 친구들로 북적였던 그곳.

저녁 먹기 전까지 신나게 놀다가 엄마의 저녁 먹으란 소리에 저녁을 먹고 밤중에 다시 모여서 놀기까지...


 

 

 

 

 

 

 

 

초등학교땐 주일아침마다 골목길에 모여 청소하는 것이 생활화되어 있었다 그것이 학교에서 내준 숙제(?)의 일환이었으니까.

우리동네에 손볼 곳이 있으면 동네 어른들이 함께 모여 고치고 아이들도 동네를 깨끗히 하는 새마을운동의 시절이었던 것같다.

사방치기, 딱지치기, 비석맞추기, 구술치기, 얼음땡, 고무줄놀이...

골목문화가 사라졌지만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에게 골목놀이를 전수해주고픈 마음이 든다.

아이들이 조금만 더 크면 친구들 모아서 함께 시도해보고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했어요 짝짝짝! 쭈까쭈까 쑥쑥 아기그림책 4
고우리 그림, 조은수 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했어요 짝짝짝]

 

 

​참 사랑스러운 그림책이다.

딸램들과 동네 마실을 하다

발견한 민들레씨를 보고

불기 놀이를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림책의 주인공이 우리딸램들과

아주 흡사하다.​

세상에 첫발을 내딪는 아이들이

동물과 식물을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하는 모습이

참 감성적이다.

울딸램들은​

​처음 민들레씨를 불던 날을 기억할까?

아빠는 아주 생생하다.

아이가 자연과 교감하는 동안

엄마의 시선은 함께​다

혼자​

민들레씨를 불고

메뚜기를 보며 팔짝 뛰고

다람쥐처럼 만나게 먹는 모습이

엄마​눈에는 너무 사랑스러워보인다.

엄마는 아이에게 참 잘했어요 

칭찬과 함께 짝짝짝 박수를 쳐준다.

엄마의 정서적 지지는 아이에게

긍정적인 자아상과 용기를

심어주겠지...


 나비를 잡으러 가다가 였을까?

자빠진 아이는 울까 말까

고민하다

땅짚고 영차 힘을 내어 엄마 품에 안긴다.



 

그림책을 보는 내내 마음이 참 따뜻해진다.​

딸램도 아빠와의 자연놀이를 통해 경험한 것들을

그림책으로 보니

신기한듯 집중집중한다..^^​

 

 


 

그림책 한권에 엄마아빠의 따뜻한 마음이 담겼다.

아이도 엄마빠도 참 행복해지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