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잘하고 싶어졌습니다 - 서울대 3번 입학, 14년을 다니며 깨달은 공부의 본질
서준석 지음 / 다산에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고 보면 세상 모든 일이 그렇다. 자전거의 첫 바퀴를 굴릴 때까지는 결코 자전거 타기의 재미를 알 수 없다. 한 곡을 끝까지 연주해낸 기쁨은 건반을 눌러보는 재미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한동작 한동작을 배울 때는 힘들겠지만, 끝내 비보잉 기술을 해냈을 때 비로소기쁨을 누릴 수 있다. 무엇이든 수십 번에서 수만 번 실패하는 연습의 시간을 거쳐야 비로소 희열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희열을 얻는 배움은 각자 다르다. 내겐 수학이 그러한 희열을 안겨준배움이었다.
‘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면 또 다른 벽에서 또 실패하더라도 - P43

수학은 개개인의 공부법이 모두 다르다. 같은 문제를 만나도 각자의 수학 실력이나 내공, 경험에 따라 그것을 대하는 방법이천차만별이다. 그렇기에 어떤 특정인에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학공부법이라고 해서 그 방법이 학생들 개개인에게 그대로 효과가있는 것은 아니다. 학원 선생님이나 선배들의 공부 노하우를 들어볼 수는 있다. 하지만 그대로 따르는 것은 정말 위험한 방법이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입 필수용어 사전 - 학생부 관리부터 입시 요강까지
이만기 지음 / 센시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아이라서 대입 용어가 어색하였는데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도움 많이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 1%의 미련도 남지 않게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하는 법
최훈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정을 두려워하는 사람으로 살지 않기 위해서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내 삶의 주체가 ‘남‘이 아닌 ‘나‘
라는 주체성을 가지는 것이다. 내가 주체가 된다는 것의 핵심은 나를 아는 것이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내가 어떤 것을 꺼리는지, 또 어떤 것을 기꺼이 수용하는지, 내가 하고 싶은 것과 하기 싫은 것이 무엇인지 등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내 안에있는 나와 직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P21

자기 확신은 인생이라는 긴 여정에서 만나는 비바람과 눈보라,
천둥번개에도 흔들리지 않고 나의 길을 갈 수 있는 힘이며 포기하고 싶을 때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원동력이다. 자기 확신이 있다면 내가 원하는 선택과 결정을 해서 조금 더 빨리 내가 바라는삶을 살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자기 확신을 갖지 못하는 이유는 첫 번째, 주변사람들의 시선 때문이다. - P73

다른 사람들의 조언을 듣거나 자료를 찾아보는것은 더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타인의 의견이 나의 선택과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 P94

지나간 시간은 좋은 기억 또는 좋은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나의 힘과 능력으로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현실에 집중해라. 그러다보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선택과 결정 앞에서 더 당당해질이다. - P192

‘나‘를 믿지 않고 ‘나‘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무수히 많은 선택지로 인해 혼란스럽고 무엇이 정답인지 몰라 갈팡질팡하며 매일매일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나를 믿어라.‘ 그것이 지금 우리가 할 수있는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이다. - P209

좋아하면 좋아한다고, 싫어하면 싫어한다고, 할수 있다면 할 수 있다고, 할 수 없다면 할 수 없다고, 도와줄 수 있다면 도와줄 수 있다고, 도와줄 수 없다면 도와줄 수 없다고 나의의지와 상황을 당당하게 ~ -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문제를 처음 접할 때 어떻게 읽어야 할까? 감정을 배재한 채 읽어야 한다. 문제에 내 감정이나 기분이 개입되는 것을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순수한 눈으로 문제를 바라봐야 하는 것이다. 흘낏 보고 쉬운 문제라고 얕보거나 도전해보기도 전에어려운 문제라고 지레 포기해서는 안 된다. 좋은 사람인지 아닌지를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과 대화를 나눠봐야 하듯이 문제를 처음 접할 때도 역시 첫인상에 현혹되지 않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 P2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잘하는 아이, 수학도 잘하는 아이 - 20년간 수학을 가르치며 깨달은 것들
오선영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이 경험해볼수록 유리하다. 실패에 둔감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학습에 있어서 실패의 감정은 백해무익하다. 실패를 자신이 해왔던 공부법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재료로 활용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할 일이지만 실패로 인한 의기소침함은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데방해만 될 뿐이다. 부정적인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실패를 전략적이고 주도적으로 이용할 줄 아는 사람은 다음 도전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