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 - 생화학무기부터 마약, PTSD까지, 전쟁이 만든 약과 약이 만든 전쟁들
백승만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저자-백승만

서울대학교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곳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댈러스에 위치한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현재는 경상국립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천연물과 의약품의 효율적인 합성이며, 이러한 유기화학 및 의약화학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의약품의 신규 개발 못지않게 기존 의약품의 역사에도 관심이 많아,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대학생이 수강할 수 있는 교양 강의 ?전쟁과 질병, 긴 악연의 역사?를 운영하고 있다.

책의 목차

들어가며

1부 전쟁에 사용하다: 선을 넘은 자들

1장 생물학무기: 페스트와 천연두

조용한 비행 | 악마의 부대 | 흑사병과 팬데믹 | 생물학 병기 | 페스트를 막아라 | 첫사랑이 준 선물 | 퍼뜨리는 자들 | 페스트와 천연두 | 천연두는 사라졌을까? | 40년간 환자 하나 없이 개발된 신약

더 들어가기: 남아메리카인은 유럽인과 무엇으로 싸웠나?

2장 마약, 전쟁을 지배하다

삼림지대와 전격전 | 메스암페타민 | 베른의 기적 | 일상으로 파고든 향정신성의약품 | 아편과 모르핀 | 헤로인 | 합성 마약류의 등장 | 모스크바 극장 테러 사건

더 들어가기: 메스암페타민은 어떻게 사람을 중독시킬까?

3장 화학무기와 해독제

사막의 폭풍 | 화학무기 | 자율신경계 | 걸프전 증후군 | 죽음의 고속도로 | 테러와 암살에 사용한 화학무기 | 알렉세이 나발니 중독 사건 | 계속되는 전쟁 | 백신 작전

더 들어가기: 아프가니스탄, 세계 최대 아편 생산지

2부 전쟁을 끝내다: 답을 찾는 자들

4장 비타민 전쟁

203고지를 점령하라 | 러일전쟁의 분수령 | 향료는 왜 비쌌을까 | 향료 전쟁 | 향료 무역과 괴혈병 | 괴혈병을 이겨라 | 각기병을 이겨라 | 카레라이스의 활약 | 지나친 자신감의 끝 | 여순항 전투 | 러일전쟁 이후

더 들어가기: 비타민C는 어떻게 괴혈병을 예방할까?

5장 전쟁의 골칫거리, 말라리아

코코다 트랙의 전투 | 천적 | 말라리아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 | 신코나 가루 | 퀴닌 | 값싸고 효능 좋은 퀴닌 유도체 | 군의관들의 활약 | 인류가 잠깐이나마 말라리아를 압도하던 시기 | 베트남전쟁 | 온고지신 | 아르테미시닌 | 끝없는 전쟁

더 들어가기: 아프리카인은 어떻게 말라리아를 견뎌냈을까?

6장 스페인 독감, 그 시작과 끝

최초의 환자 | 늘어지는 전황과 미국의 참전 | 억울한 ‘독감균’ | 패닉 | 돌연변이를 막아라 | 독감 바이러스의 규명과 백신 생산 | 스페인 독감과 생물학무기 | 요한 훌틴 | 괄목상대 | 시간이 지나도 퇴색되지 않는 열정 | 검증과 확인

더 들어가기: 바이러스 치료제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3부 전쟁이 남기다: 선물과 청구서

7장 대륙봉쇄령과 아스피린 그리고 타이레놀

전투의 순간: 트라팔가르해전 | 대륙봉쇄령과 해열제 품귀 | 살리실산 | 아세틸 살리실산 | 전쟁과 아스피린 공급 위기 | 아스피린의 한계와 대체재의 등장 | 타이레놀의 운명 | 타이레놀 적정량

더 들어가기: 아스피린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8장 마법의 탄환

대륙을 넘어선 공조 | 100년의 시간 | 비소, 구원의 약이 되다 | 기적의 빨간 약 | 40 나누기 9 | 휴가 중에 터진 대박 | 초특급 대우 | 뚜렷한 한계 | 신대륙으로 | 세계로 | 앞으로

더 들어가기: 페니실린 생산을 위해 화학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9장 공포의 전쟁, 전쟁의 공포

덩케르크 탈출 작전 | 인공동면 요법 | 고참 병장 증후군 | 군대 가기 싫었던 청년 이야기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PTSD 치료법 | 미군의 비밀 무기 | 슈퍼히어로의 PTSD

마치며

전쟁이 없으면 약을 못 만들까? | 전쟁과 질병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참고 문헌


책의 특징

책의 저자는 전쟁과 질병이 끊임없이 교류하며 인류를 괴롭혀왔다고 한다. 저자는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질병의 역사라고 주장한다. 또 저자는 인류사에 끼친 영향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위험한 악당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면 그것이 더 이상하지 않으냐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전쟁과 질병의 역사에 의약품이 끼어들면서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고 한다. 의약품이 때로는 전쟁의 선봉에 서기도 하고 때로는 다친 병사들을 위로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고 한다. 우리는 전쟁과, 전쟁이 남긴 질병, 의약품과 하루를 보낸다고 한다. 저자는 전쟁과 질병, 의약품의 역사를 개별적으로 소개하는 책이나 영상은 시중에 많이 있어 굳이 한 권을 추가하고 싶지는 않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관점을 바꿔서 이들이 서로 얽혀왔던 역사와 현실에 집중한다면 괜찮은 이야기가 나올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전쟁, 질병 그리고 의약품에 관한 자료를 모으고 내용을 정리하면서 가능한 한 쉽게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했다고 한다. 이 책은 수많은 전쟁이나 질병, 의약품, 인물 등을 소개한다. 이 책으로 전쟁, 질병, 약, 이들이 펼친 기나긴 악연의 역사를 배울 수 있다.

책의 장점

이 책은 작고 가벼워서 휴대하기 쉬워 언제 어디서나 책을 읽기에 편리하다. 단순히 약, 의약품에 대해서만 배우면 내용이 어렵고 흥미를 느끼기 어려울 수 있지만, 전쟁과 역사라는 두 가지 콘텐츠와 같이 약, 의약품에 관해서 설명해줘서 지루하지 않고 재미를 느끼면서 책장을 넘길 수 있다. 페스트, 천연두, 메스암페타민, 모르핀, 헤로인, 아스피린, 타이레놀, 천연두, 괴혈병, 말라리아, 스페인 독감 등의 다양한 질병, 다양한 의약품들의 역사를 설명해주어서 넓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또 책의 쳅터 마지막 장마다 <더 들어가기> 코너가 있어서 새로운 지식도 배워 갈 수 있다.

책의 후기

나는 예전에 대학교 재학 시절 <약학 개론>이라는 전공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다. 내가 듣던 <약학 개론> 수업은 약의 정의와 성분, 효능 화학구조 위주로 배웠는데, 약의 이름이 어렵고, 복잡한 성분과, 화학구조가 어려워서 수업이 지루하고, 공부하는 것이 어려웠고, 왜 이런 것을 배우냐고 생각했다. 그래서 약 관련 수업, 책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읽은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라는 책은 약의 역사를 알려주어서 이 약이 어쩌다 개발되고, 이 약이 왜 필요했는지를 알려주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고, 약 관련 서적이 지루하다는 편견을 버리게 해주었다. 공부를 즐겁게 하려면 역사를 먼저 공부하라는 이야기가 있다. 왜냐하면 역사를 먼저 배우면, 이 지식이 왜 필요했는지, 이 지식이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를 배울 수 있어 더욱 흥미롭게 공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약이라는 분야의 역사를 알려준 책으로, 다른 분야들도 이 책처럼 역사와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판되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ltkddnjs150 2023-01-21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쟁과약기나긴악역의역사,백승만,동아시아,동아시아출판사,서평,약,독약,마약,약의역사,생화학무기,PTSD,전쟁,질병,의약품,모르핀,펜타닐,아스피린,메스암페타민,화학무기,항생제,페스트,천연두,괴혈병,말라리아,스페인독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