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때 가장 친한 친구 OOO와 공부 잘 되어가냐는 이야기를 주고 받곤 했는데, 서로 경쟁하듯 난 뭐가 안된다, 난 뭐가 안된다 그러다가 공통점을 발견했다. 국사 공부를 할때 근현대사는 정말 하기가 싫다는 점이다. 우선 일제시대와 광복,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겨우 2~3페이지에 걸쳐 요약되어 있는 국사책은 설명이 정말 불친절했다. 대한민국의 평범한 수험생인 우리를 매우 불편하게 만들었다. 역사적 배경이 있고, 발단이 있고 결과가 있어야 달달 외우기 더 쉬운데, 유독 국사 교과서의 근현대사 부분은 그렇지 않았다. 왜 419, 516이 일어났는지, 어떻게 광복, 분단되었는지,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지 이야기 해주지 않았다. 이런 설명의 불친절함 말고도, 우리 조상님들의 부끄러운 과거를 받아들이기가 불편한 점도 컸다. 세종대왕이 한글도 창제하고, 장영실도 나오고, 이이, 정약용 같은 멋진 사람도 많다가 갑자기 김구 선생님이 왜 초대 대통령이 되지 못했는지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많았다.


이제서야 유시민의 '나의 한국현대사'를 읽으며 '아, 이랬던 거였구나'할 수 있음이 다행이다. 진작에 이걸 알았더라면 내가 국사 점수를 더 잘받을 수 있었을텐데 생각하다가, 에이- 반대일수도 있겠다 하면서 혼자 피식 웃었다. 이 책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잘 쓰여진 글로 이해를 도울뿐만 아니라 우리의 역사에 부끄러움보다 자부심을 느끼게 도와준다. 너무 화끈거려서 대면하고 싶지 않은 과거에 대해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라며 토닥여 주기에 부담없이 읽을만하다.


최근 유시민 선생님께서 글쓰기에 대해서 말씀하시면서 작은 단어 선택에 자신의 주관적인 주장이 들어가지 않게 구분해서 쓰라고 하셨는데,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책은 '저요 저요'하고 손들어 지적하고 싶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분명하게 경고를 하고 들어간다. "당신, 가치관이 문제가 있어. 인생 잘못 사는거야!" 라고 외치면 정작 읽어야 할 사람들이 외면할까봐 "당신, 역사를 잘못 아는거야!" 라며 외치는 전략이 잘 먹혀 들어가길 바란다.


대립하는 역사인식의 배후에는 대립하는 이해관계와 경험, 서로 다른 인생관이 놓여 있다. 혼자 산다면 역사논쟁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사람은 남과 어울려 살면서 끊임없이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고 평가한다. 어떤 사람은 좋아하고 존경하지만, 어떤 사람은 싫어하고 경멸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되도록 그런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훌륭하다고 생각해서 존경심을 표현하는 것은 괜찮지만 싫어하고 경멸하는 감정을 노출시켜서는 곤란하다. 사람은 대체로 지적과 비판보다 칭찬과 아부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당신, 가치관이 문제가 있어. 인생 잘못 사는거야!" 이런 말을 듣고 기분이 좋을 사람은 없다. 그런데 같은 말을 해도 역사를 가지고 하면 부담이 덜하다. "당신, 역사를 잘못 아는거야!" 이것은 단순히 과거의 사실에 대한 인식과 견해를 비판하는게 아니라 그 사람의 인생에 대한 비난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