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여년 : 오래된 신세계 - 상1 - 시간을 넘어온 손님
묘니 지음, 이기용 옮김 / 이연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8억뷰 드라마가 소설로 나오다니 책으로 보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매, 밥 됩니까 - 여행작가 노중훈이 사랑한 골목 뒤꼍 할머니 식당 27곳 이야기
노중훈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작가 노중훈을 알게 된 것은

배틀트립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이다.

 

그 프로그램은 제목처럼

한 지역으로 여행을 가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등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그날 소개한 지역이 하필이면 내 고향이었다.

오~ 뭐지...

여긴 현지인들만 아는 식당인데...

 

여행작가들은 지역마다

식당을 소개해 주는

현지인을 두고 소개를 받는 것일까?

 

아무튼 그때부터

작가에 대한 신뢰도가 완전 상승했다.

 

노중훈 작가의 신간이 나온다길래

관심 100%, 기대는 따블 200%였다.

 

역시 전문가는 달랐다.

 

블로그나 추천 맛집 검색에 나오는

널리고 널린 화려한 식당이 아닌

소박하고 정갈하면서도 맛깔스러운

우리 할머니들이 차려줄 것 같은

할머니들의 식당만을

골라서 소개해 준 것이다.

 

간판만 봐도 세월이 느껴지는

한곳에 오래 머문 식당들,

작고 허름하고 낮게 엎드린 식당들.

그 식당들을 지켜온 사람들,

그 사람들이 쌓아온

대수롭지 않은 이야기들이

이 책의 전부이다.

한마디로 너무~ 좋았다.

 

국수, 감차 부침, 막걸리, 라면, 커피,

돈가스, 백반, 콩나물 해장국, 보리밥,

도넛, 만두, 빵, 떡볶이, 콩국수 등을 파는

전국 방방곡곡의 27곳의 할머니 식당들.

 

작가의 맛 표현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게 하고,

소개해 주는 것은 꼭 먹어봐야 할 것 같은

음... 입에 침이 고이게 하는 글빨~.

 

- 세상에! 사골은커녕 멸치 한 마리도 헤엄치지 않았고,

   새우 한 마리도 얼씬거리지 않았으며,

   바지락 한 개도 몸을 담기지 않았던

   이토록 허전한 국물의 국수라니.

- "서서 잤다"고 술회할 만큼 종일토록 음식 장사에 진력했다.

   나날이 고단했고, 매일매일 매웠으며, 하루하루 고됐다.

- 고추, 오이, 마늘, 샐러리 등으로 담근 장아찌도 경쾌했다.

   파김치는 파김치가 될 때까지 먹고 싶었다.

- 요리 솜씨 출중하고 말솜씨 걸출한데, 노래 솜씨마저 절묘하다.

- 일상이 무료함으로 출렁거린다.

- '노동집약적'이 아니라 '노동폭발적'이다.

 

배고플 때, 집 밥 먹고 싶을 때,

해 질 녘 고향 생각날 때,

할머니, 할아버지 생각날 때

절대 읽어서는 안 될 책이다. ㅎㅎ

작가는 '할머니 식당'들의 이야기가

남들에게는 '소사(小事)'이지만

자기에게는'대사(大事)'이고,

또한 우주와 같다고 한다.

그만큼 애정이 많다는 뜻인 것 같다.

 

음식 이야기가 할머니들의 인생 이야기와 만나

읽는 내내 따뜻한 누룽지를 먹는 기분이었다.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주었다.

 

20여 년간 여행작가를 한

노중훈이 가진 이야기는

아직 많이 남아 있을 것이다.

 

다음 책도 기대해 봅니다.

 

 

 

 

* 출판사 지원도서를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매, 밥 됩니까 - 여행작가 노중훈이 사랑한 골목 뒤꼍 할머니 식당 27곳 이야기
노중훈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작가 노중훈을 알게 된 것은

배틀트립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이다.

 

그 프로그램은 제목처럼

한 지역으로 여행을 가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등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그날 소개한 지역이 하필이면 내 고향이었다.

오~ 뭐지...

여긴 현지인들만 아는 식당인데...

 

여행작가들은 지역마다

식당을 소개해 주는

현지인을 두고 소개를 받는 것일까?

 

아무튼 그때부터

작가에 대한 신뢰도가 완전 상승했다.

 

노중훈 작가의 신간이 나온다길래

관심 100%, 기대는 따블 200%였다.

 

 

역시 전문가는 달랐다.

 

블로그나 추천 맛집 검색에 나오는

널리고 널린 화려한 식당이 아닌

소박하고 정갈하면서도 맛깔스러운

우리 할머니들이 차려줄 것 같은

할머니들의 식당만을

골라서 소개해 준 것이다.

간판만 봐도 세월이 느껴지는

한곳에 오래 머문 식당들,

작고 허름하고 낮게 엎드린 식당들.

그 식당들을 지켜온 사람들,

그 사람들이 쌓아온

대수롭지 않은 이야기들이

이 책의 전부이다.

한마디로 너무~ 좋았다.

 

 

국수, 감차 부침, 막걸리, 라면, 커피,

돈가스, 백반, 콩나물 해장국, 보리밥,

도넛, 만두, 빵, 떡볶이, 콩국수 등을 파는

전국 방방곡곡의 27곳의 할머니 식당들.

 

 

작가의 맛 표현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게 하고,

소개해 주는 것은 꼭 먹어봐야 할 것 같은

음... 입에 침이 고이게 하는 글빨~.

 

- 세상에! 사골은커녕 멸치 한 마리도 헤엄치지 않았고,

   새우 한 마리도 얼씬거리지 않았으며,

   바지락 한 개도 몸을 담기지 않았던

   이토록 허전한 국물의 국수라니.

- "서서 잤다"고 술회할 만큼 종일토록 음식 장사에 진력했다.

   나날이 고단했고, 매일매일 매웠으며, 하루하루 고됐다.

- 고추, 오이, 마늘, 샐러리 등으로 담근 장아찌도 경쾌했다.

   파김치는 파김치가 될 때까지 먹고 싶었다.

- 요리 솜씨 출중하고 말솜씨 걸출한데, 노래 솜씨마저 절묘하다.

- 일상이 무료함으로 출렁거린다.

- '노동집약적'이 아니라 '노동폭발적'이다.

 

 

배고플 때, 집 밥 먹고 싶을 때,

해 질 녘 고향 생각날 때,

할머니, 할아버지 생각날 때

절대 읽어서는 안 될 책이다. ㅎㅎ

 

 

작가는 '할머니 식당'들의 이야기가

남들에게는 '소사(小事)'이지만

자기에게는'대사(大事)'이고,

또한 우주와 같다고 한다.

그만큼 애정이 많다는 뜻인 것 같다.

 

 

음식 이야기가 할머니들의 인생 이야기와 만나

읽는 내내 따뜻한 누룽지를 먹는 기분이었다.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주었다.

 

20여 년간 여행작가를 한

노중훈이 가진 이야기는

아직 많이 남아 있을 것이다.

 

다음 책도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빙글빙글 우주군
배명훈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SF작가의 새로운 이야기인 ‘빙글빙글 우주군‘, 시트콤 우주군이라고 하는데 궁금합니다. 복고풍 표지도 제 취향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 브라이슨의 대단한 호주 여행기
빌 브라이슨 지음, 이미숙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나는 햇볕에 타버린 나라를 사랑한다네,

I love a sunburnt country,

드넓은 평원,

A land of sweeping plains,

험준한 산맥,

of ragged mountain ranges,

가뭄과 억수 같은 비의 땅을.

of droughts and flooding rains.

<나의 나라> 도러시어 매켈러 - 호주 출신 시인

 

 

이 책의 원래 영어 제목은

위 시에서 제목을 얻게 되었다고 하는데,

<햇볕에 타버린 나라에서, in a sunburnt country>

라고 한다.

 

 

호주 대륙 중심부에는 사막지대가 펼쳐져 있으며,

그곳은 사람도 거의 없고 이정표도 잘 없는

뜨거운 곳으로 끝도 없다고 한다.

 

 

내 생각에는 호주라고 하면

천혜의 자연 환경에 축복받은 기후,

서핑하기 좋은 해변을 가지고 있는 등의

수도와 해변가 중심의 개발된 도시만을 알고 있는

나에게는 호주를 제대로 알려준 책이다.

 

 

예리한 관찰력과 재기발랄한 문체로

'현존하는 가장 재미있게 글을 쓰는 저널리스트'로

평가받고 있는 기자출신의 저자는,

 

 

호주의 지리적, 생물학적, 역사적 내용 등을

충실하게 알려주면서도,

현지인이나 동행자와의 대화 등에서

절로 웃음이 터져나오게 만드는

위트있는 문체로 내용을 이끌어 간다.

 

 

호주 전체를 돌아보는 여행을 하는데

숙박, 식사 등을 현지에서 바로 해결하는,

그래서 숙박, 식사의 어려움이 가끔 발생하기도 해서

여행의 생생함을 느끼게 해 준다.

 

 

대륙 중심부의 오지를 주로 여행해서,

불편한 호텔, 개발되지 않은 자연을 가고,

현지의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을 방문하여

그 지역의 역사와 유래 기원 등을 같이 알게 된다.

 

 

호주의 현지인을 애버리저니라고 한다.

원래 유럽인 호주에 정착한 기간은

전체 역사의 0.3퍼센트에 불과하다고 한다.

 

 

현재, 애버리저니는 거의 오지에 살고,

도시에 사는 애버리저니는

하류층 생활을 한다고 한다.

애버리저니는 도시에서

보이기는 하지만 무슨 일을 하는지

관광객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어느 대륙이나 원주민과 새로이 유입된 주민들

사이에는 그런 관계인가 보다.

애버리저니에 대한 대우가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더 존중되어져야 할 것 같다.

 

 

<빌 브라이슨의 발칙한 유럽산책>,

<거의 모든 사생활의 역사> 이후

세번째로 읽은 책인데,

저자의 박학다식함과 탁월한 입담,

특유의 호기심과 쾌활함이 전해지는

저자만의 독특함이 있는 책이었다.

 

 

호주 여행 가기 전에 읽으면참 좋을 듯한 책.

코로나가 빨리 종식되어

해외여행이 자유로워질 때를 기다려본다.

빌브라이슨의대단하호주여행기, 빌브라이슨, RH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