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호호호 웃으면 마음 끝이 아렸다
박태이 지음 / 모모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를 생각하면 그저 한없이 내 편이 되어주던 엄마의 미소와 함께 심중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울컥한 마음이 동시에 떠오른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mother'인 것처럼 (아빠가 아닌 왜 엄마였을까 아직도 의문이긴 하지만) 모성애는 그 어떤 사랑에 버금갈 수 없는 위대한 힘이고도 위대한 사랑이다.

엄마를 생각하며, 엄마와 함께 읽을 수 있는 힐링 에세이가 출간되어 소개하고 싶다. 저자는 박태이. 처음 들어보는 저자이고 개인 블로그를 통해 글쓰기를 꾸준히 실천해오신 분이었다. 일기형의 글을 쓰다가 책으로까지 출간하신 분들이 많은데 이분은 사실 결혼을 아직 하지 않은 분이신 줄 알았으나 책의 2/3 지점을 읽다 보니 두 아이의 엄마이셨다.

사랑하고 미워하고 다시 사랑하게 되는 가족. 가족이라는 작은 사회의 울타리를 견고하고도 잘 만들어 두어야 더 큰 사회를 나가더라도 작은 사회에서 이루었던 사랑으로 잘 견뎌나갈 수 있는 것 같다. 나도 결혼하기 전 배우자를 그렸을 때는 무엇보다 내가 받았던 사랑만큼의 사랑을 받고 자란 가정에서의 남자였다. 물론 그 인연을 작년에 값지게 만나 현재 나의 배우자가 된 남편을 만날 수 있음에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 당신이 아니었다면 나는 아마도.. 어찌 되었을지..!

사랑하는 이들에게 수십 번이고 말할 내 사랑은 어떻게 표현되어야 할까.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 이 질문을 던져보는 저자의 진심 어리고도 애정 어린 행간의 호흡을 생각하며 읽어보았다.

조건 없는 사랑으로 나를 성장시켜 주신 우리 부모님. 그리고 같은 사랑을 받아온 나의 신랑. 그리고 우리와 연결된 가족들. 우리는 보이지 않는 사랑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사랑을 듬뿍 받으며 그리고 베풀며 서로가 서로에게 끈끈한 '가족애'로 더 나아가 '인류애'를 이룰 수 있는 날이 올 것 같다. 받은 사랑 베풀면서 살아가자고 우린 늘 다짐한다.

가족도 타인이다. 어디서 들은 적이 있다. 남은 아닌 가족이지만 이러한 가족도 어찌 보면 나와 다른 타인이기에 이렇게 서술한 부분들이 불편하지 않다. 하지만 이해와 사랑은 별개의 문제라는 대목에서는 한 번 더 숙고하게 된다. 사랑이 있기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차원의 개념이라는 생각에서 우리 아버지를 떠올리게 되었다.

가족에 대한 깊은 사랑과 애정 어린 박태이 저자만의 시선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힐링 에세이 <엄마가 호호호 웃으면 마음 끝이 아렸다>는 나의 마음의 깊은 곳을 아리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