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쨌든, 쇼펜하우어 x 윤동주
김이율 지음 / 미래문화사 / 2025년 11월
평점 :
[서평단 이벤트]에 참여하여 도서를 제공 받아 학습 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어쨌든, 쇼펜하우어와 윤동주"는 절망과 희망이라는 인간의 근원적 감정을 철학과 시의 언어로 엮어낸 따뜻한 사유의 책입니다. 김이율 작가는 서양 철학자 쇼펜하우어와 한국 시인 윤동주라는, 시대와 배경이 전혀 다른 두 인물을 나란히 놓으며 ‘고통 속에서도 인간은 어떻게 다시 희망을 쓰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쇼펜하우어가 말한 “삶은 고통이고, 그 고통은 피할 수 없는 존재의 진실”이라는 명제와 윤동주의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이라는 시적 기도는 서로 다른 언어로 같은 지점을 가리킵니다. 그것은 바로 인간이 절망의 바닥에서도 다시 일어서려는 내면의 의지, 그리고 그 의지를 가능하게 하는 ‘희망의 감각’입니다. 작가는 이 두 사상을 교차시키며, 철학적 명상과 시적 감수성이 결합될 때 인간의 마음이 얼마나 단단하고도 섬세하게 빛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책은 단순한 인문 에세이가 아니라, 우리가 매일의 불안과 상실 속에서도 어떻게 ‘희망을 쓰며 살아갈 수 있는가’에 대한 치유의 안내서이기도 합니다.
책을 읽으며 가장 깊이 남은 것은 ‘고통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품는 법’에 대한 저자의 통찰이었습니다. 저자는 삶의 어두운 순간을 피하려 하지 말고, 그 속에서 반짝이는 의미를 발견하라고 말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인간의 욕망과 한계를 직시하게 만든다면, 윤동주의 시는 그 절망을 감싸 안으며 마음속 별빛을 다시 밝히게 합니다. “물은 흐를 때 깨끗해지고, 바람은 불어야 맑아진다”는 구절처럼, 감정의 고요는 억압이 아니라 흘려보냄 속에서 찾아집니다. 이 책은 그 흐름을 회복하게 하는 한 권의 ‘내면의 바람’ 같습니다. 읽는 내내 삶의 무게를 조금은 내려놓고, 그 속에서도 여전히 반짝이는 희망의 조각을 발견하게 됩니다. "어쨌든, 쇼펜하우어와 윤동주"는 철학과 시가 만날 때 어떤 따스한 위로가 피어나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며, 지친 마음에 ‘그래도 살아볼 만하다’는 다정한 응답을 건넵니다. 절망을 직시하면서도 끝내 희망을 놓지 않는 이 책의 문장들은, 마치 마음속 잔잔한 물결처럼 오래도록 독자의 내면에 머무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