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서커스 -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
나카가와 요시타카 지음, 임해성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이야기는 지금까지 역사학자들이 이야기 좋아하는 재료입니다. 기나긴 역사속에서 찬란한 문화를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낸 로마는 영화, 소설, 드라마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리가 쉽게 만날수 있습니다.

로마가 오랜 세월에 걸쳐 넓은 영토를 보유하고 번영을 유지할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왜 멸망했을까? 이런 다양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위해 글을 쓴 나카가와 요시타카의 "빵과 서커스"입니다.

빵은 밀로만든 먹는것을 대표하는 단어, 서커스는 사람들에게 일상의 고단함을 잊게해주는 오락거리를 대표하는 단어 입니다. 저자는 로마를 만들고 지행한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빵과 서커스야 말로 로마를 오랜시간 번영하게 해준 원동력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원형극장, 원형 쿠기장, 전차 경주장, 모의 해전장등 건설하기도 어렵고 유지하기도 어려운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는것은 그 만큼 효용성이 유효했기 때문에 존재한것이 아니겠는가 유추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로마를 유지하는 다양한 존재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1. 강력한 군사력과 건설 기술력

2. 신속히 행군할수 있는 도로 인프라

3. 식량 생산과 공급

4. 관용과 흡수 그리고 능력주의

현대시대에서 생각해도 파격적인 우대로 보여줄수 있는 제도와 제국의 역량입니다. 저자가 생각하는 로마제국의 조건은 간단하것 같으면서 어려운 이야기를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현 시대의 제국은 미국이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할것 입니다. 그 나라는 위와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나요? 곰곰히 생각하면 미국은 강력한 군사능력, 높은 기술력, 높은 농업능력, 그리고 다민족 국가라는 저자가 이야기하는 제국의 조건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현 시대의 제국으로 불리고 있는것은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책은 단순하게 빵과 서커스에 대한 조사와 분석만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로마시대의 유물과 유적지를 소개하고 얼마나 멋지고 굉장한지 우리에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칼라 사진을 같이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글로보는 것보다 한층더 멋진 유적지의 감동을 느낄수 있습니다.

빵과 서커스로 쓴 로마제국의 번영과 몰락 한 시대를 대표하는 역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을 주는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