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대건 바로 알기 -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탄생 200주년 희년 도서
김정수 지음 / 생활성서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대림 제1주일(2020, 11.29)부터 내년 대림 제1주일 전날까지 (2021, 11. 27)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탄생 200주년 희년이 선포되었다. (참고로 희년50년마다 돌아오는 해로서, 가톨릭에서는 이런 의미와 정신을 담아 의미있는 해를 희년으로 선포해왔다. 이번 희년 선포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교황청에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는 해를 희년으로 선포해줄 것을 요청해 이루어졌다.)

 

생활성서사는 이 희년을 맞이하여 김대건 신부님의 삶과 영성을 알 수 있는 성 김대건 바로 알기와 김 신부님 영성을 기반으로 한 묵상 기도서 성 김대건 바로 살기를 출간했다. ‘바로 알기는 전기적, 교훈적 측면이라면, ‘바로 살기는 실천적 측면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이 두 권을 함께 읽으면 각 장점이 극대화되기에 둘 다 추천한다.

 

성 김대건 바로 알기에서는 김대건 신부님의 모든 면을 총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1장부터 3장까지는 16세기 이후의 조선과 조선 천주교회, 김대건 신부의 어린 시절과 유학생 시절, 저작물과 선교 활동, 순교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를 간결하게 조명하고 있다. 4장에는 김대건 신부님이 구체적으로 어떤 영성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셨는지와 신부님의 행적이 오늘날 신자에게 주는 의미와 교훈이 들어있다. 진정한 어른이 없고 가치관이 부재한 우리나라를 생각해볼 때, 김대건 신부님의 삶은 많은 면에서 신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새로운 가치와 롤모델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여러 용도로 가능하며, 소장가치가 있다.

 

우선 이 책을 통해 신자들은 김대건 신부님의 삶 속에서 보여준 신앙과 순교정신을 읽으면서, 자신이 천주교인으로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돌아보고 변화하도록 이끌어 줄 것이며, 신부님을 모르는 분들에게는 좋은 소개서가 될 것이다. 또한 주일학교나 성경공부 등 각종 모임에서 김대건 신부님에 대한 참고 자료로 쓰기에 좋다.

특히 묵상기도서는 그 자체만으로 김대건 신부님에 대해 에피소드별로 간략하게 알 수 있으며, 묵상기도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이끌어주기에 매우 유용하다. 묵상기도에 변화를 주고 싶거나, 기도 방법을 모르는 이들에게 선물해주어도 좋다.

 

특히 이 두 책을 읽고 기도하면서 성지순례를 한다면, 영적으로 알찬 희년을 보내게 될 것이다. 만일 조만간 코로나가 종식된다면, 내년 봄부터 신자들의 본격적인 성지순례 시즌이 다가올 터인데, 그 전에 반드시 이 두 책을 읽고 난 후에 방문해야 성인의 가르침을 올바로 깨닫고 삶으로 실천할 수 있다. 아는만큼 보고 느낄 수 있다고 하지 않는가. 성지를 아무 준비없이 가는 것과 미리 성인의 영성을 공부하고 가는 것은 그 효과가 아주 다르다는 것을 항상 체험했다.

 

또한 국내에는 잘 조성된 성지순례지가 많은데 코로나로 외국 여행이 어려운 이 시점, 일반인(비신자)도 이 두 안내서와 함께 김대건 성지 순례길 코스로 자신을 돌아보는 작업을 한다면 정신적으로 많은 성장과 함께 삶의 올바른 방향을 찾게 될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출판사 서평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성 김대건 바로 알기의 생활성서사 출판사 서평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073585&memberNo=24876910&vType=VERTICAL

 

<책 속으로>

 

한국 천주교회는 2021년 김대건 희년 주제를 당신이 천주교인이오?”로 정했다...희년주제가 된 물음은 관아에 체포된 김대건 신부에게 한 관장의 물음이었다. 이에 김대건 신부는 망설임없이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하고 답했다....175년만에 소환된 이 물음은 이제 우리 모두를 향해 던져진다...나는 천주교인에 걸맞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한국 주교단은 이 질문을 통해 성인이 지녔던 확고한 믿음을 오늘날 우리로 하여금 되새기도록 초대한다. -p.123

 

김대건 신부가 만난 하느님의 모습을 어떠했을까? 그는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하느님께 도움을 간청하면서, 하느님을 인간 문제를 해결하러 오시는 분으로, 필요할 때 당신을 드러내시면서 인간과 함께 하시는 하느님으로 이해했다. 그는 주님을 향한 열정으로 위험과 고난, 굶주림과 건강의 위험, 박해 등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헌신했다. -p.133

 

그는 하느님이 부르시는 곳이라면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떠났다. .모든 성인들의 특성은 하느님께서 부르시면 즉시 자기가 몸담고 있던 곳을 떠나는 것이다. 그것은 신앙인들의 특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떠남은 결코 쉽지 않다. ..진리를 위해서 떠난다는 것은 자기 목숨을 걸고 떠나는 것이다. -p.136

 

신앙인들이 제일 두려워해야 할 것은 나는 신앙을 가졌다.”라며 안주하거나, “내가 가진 신앙보다 큰 힘은 없다.”라는 자만에 빠지는 것이다. 그런 위험에서 벗어나려면 끊임없이 새로운 것, 다가오는 위험과 고통 심지어 어둠까지도 모두 듣고 보면서 마주할 수 있는 마음을 지니며 살아야 한다...잘 떠날 수 있다는 것은 부르심에 충실하다는 뜻이다...김대건 신부는 떠남에 충실하다보니 순교에 이르는 종말론적인 삶까지 다다른 것이다..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을 소유하려는 마음도 버린다는 의미이다. ..그렇지 않으면 하느님을 우리 편한대로 이용하려는 우상숭배에 빠지게 되고 온 백성을 살피시는 하느님의 뜻과는 전혀 다른 허상의 삶을 사는 위험에 빠질지도 모른다. -p.137

 

<참고>

한국천주교 주교회의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탄생 200주년 희년을 맞아

신자들의 희년살이를 위해 특별 온라인 페이지를 오픈하고 희년살이 안내서를 발행했다.

 

희년 특별 페이지에는 신년 담화와 기도문, 희년 개막 및 폐막 의사를 비롯한 다양한 기념행사, 성령대회, 신앙대회 정보, 프란치스코 교황과 교황청 추기경들의 메시지, 그리고 전대사 조건이 상세히 안내되어 있다. 전국의 희년 순례의 성지와 성당 정보도 검색가능하다.

 

특별 온라인 페이지 주소:

https://cbck.or.kr/jubilee-of-200th-StAndrewKim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