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경제학
밀턴 프리드먼 지음, 김병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나온 것이 1991년이라 한다.
정말이지 오래된 책이다.
역사는 아이러니하게 지금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 빛을 발하게 한다.

이 책의 주제는 다음의 한줄로 요약된다.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화폐는 불태환지폐를 말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프리드만은 복본위제의 역사적고찰을 통하여 자신의 이론을 정립한다.
(복본위제 -> 금본위제 -> 화폐제도)

책의 몇구절을 인용하면서 리뷰를 마친다.

|과도한 화폐발행의 원인은 무엇인가?
...지난날 금본위나 은본위 화폐제도에서는 무엇이 타당했든지, 오늘날의 지폐제도에서는 과도한 화폐발행,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은 정부이며, 오직 정부뿐이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처반
...화폐량의 과도한 증가가 인플레이션의 유일한 중요 원인이듯이 화폐증가율의 감소가 인플레이션의 유일한 처방이다.

|결론 
다음 5가지 간단한 진리는 인플레이션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 대부분의 지식을 담고 있다.
1) 인플레이션은 화폐증가 속도가 생산속도 증가보다 빠를때 발생하는 화폐적 현상이다.
(물론 화폐증가의 원인은 다양하다)

2) 오늘날 모든 정부가 화폐량을 결정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3) 인플레이션에 대한 처방은 화폐증가율의 하락, 오직 그것뿐이다.

4) 인플레이션이 발전하기까지는 몇 달이 아니라 몇 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인플레이션이 치유되는 데도 역시 시간이 걸린다.

5) 인플레이션 처방에 따른 불유쾌한 부작용은 불가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