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워낙 대중화 된 요즘이다보니, 고가의 DSLR 카메라를 제외하고서는 일반적인 스냅카메라는 보기 힘들다. 스마트폰이 나오기전까지가 똑딱이카메라와 하이엔드, 렌즈교환식 DSLR이 각각의 시장과 사용자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똑딱이카메라는 것이 사실은 조금 비하성 용어다. 상대적으로 고가 DSLR의 사용자들이 사진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막 찍어대는 컴팩트형 카메라를 낮춰부르는 식으로 말하곤 했다. 고가의 카메라의 경우 전문가들이 수동으로 초점, 노출 등을 조절하여 강조하고 싶은 피사체를 찍을 수 있는데, 그에 반해서 컴팩트카메라들은 대체로 오토모드로 그냥 마구 마구 찍어대다보니 주제가 없는 저급한 사진만 나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똑딱이 유저들의 가장 큰 항변은 편리한 휴대성이었다. DSLR의 무거운 몸체, 고가의 렌즈세트, 배터리 팩 등을 휴대하고 다니려면 카메라 가방은 필수였는데 반해,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크기에 아무런 사전 동작없이 전원버튼만 누르고, 피사체에 대고 셔터를 누르면 1-2초 만에 촬영이 가능한 컴팩트 카메라는 일반인에게는 훨씬 유용한 존재였다.
그런데 강력한 자체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의 등장은 컴팩트 카메라의 시장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컴팩트카메라도 무겁고 귀찮고은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강력한 기능중의 하나가 큰 화면이고, 여러개의 렌즈로 전문가 못지 않은 사진을 손쉽게 찍을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더군다나 휴대폰에 바로 저장되고, 공유도 가능하며, 어플을 통해서 여러방식으로 보정도 손안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일부 전문가를 제외하고서는 스마트폰이 익숙한 사람들은 더이상 별도의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는 요즘이다. 새로 출시되는 휴대폰의 경우 성능 향상의 큰 기준이 카메라 기능치의 증대여부로 판가름이 날 정도로, 폰카메라가 휴대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향상된 기능은 일반인들도 전문 사진기사 못지 않은 사진을 촬영하게 도와준다.
그렇다고 해서 스마트폰 카메라가 모든것을 해결해 줄 수는 없다. 좋은 사진은 어니까지나 기본적인 사진촬영의 공식이 있고, 적당한 시간, 광량, 구도 등의 요소가 조화를 이루었을 때 나온다. 폰카의 Auto 모드로 찍더라도 좋은 사진이 나오기는 하지만, 그래도 잘찍은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기본적 공식을 학습해야 한다.
책은 그러한 기본기를 다지기 위해서 폰카메라의 기본적인 설정 값을 조정하는 것부터 설명하고 있다. 한국인이 가증 많이 사용하는 갤럭시와 아이폰 모두를 설명하고 있어 아이폰 유저도 고민할 필요가 없는 것이 좋다. 그다음에는 기본적인 폰카메라 촬영법을 알려주며 1장을 마무리한다. 2장부터는 스마트폰 촬영 핵심 공식이 등장하는데 사진을 전문적으로 전공항 사람들이 사진학의 기초라고 배우는 내용들이 나오는데, 이것말 잘해도 그래도 사진을 찍을 줄은 안다는 말을 들을 것으로 보인다. 3장은 상황별 스마트폰 촬영법이다. 인물을 잘 찍는 법부터 시작하여, 정물, 음식 등의 비교적 근접 촬영의 기법과 풍경사진을 아름답게 찍는 법을 설명한다. 4장은 이른바 뽀샵으로 대표되는 사진 보정의 영역이다. Adobe 사의 Lightroom을 설명한다. 해당 어플은 유료, 무료 버전이 각각 있는데, 일반 유저는 무료버전만으로도 원하는 보정사진을 만들어 낼수 있다고 한다. 물론 유료버전에 더 많은 기능이 있겠지만, 유료버전이 필요한 정도의 사용자라면 이 책을 읽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끝으로 책의 저자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보정법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도 보정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보정에는 정답이 없다고 했다. 정답은 없으나 해답이 있다고 하는 편이 옳은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책에는 어려운 전문적인 내용이 제한적으로 등장하지만 일반인이 이해를 못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기본적인 사진촬영의 기법을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하는 스마트폰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어, 보다 쉽게 이해가 된다고 생각된다. 폰카로 일상의 기록을 사진으로 남겨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