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 있는 집에서 잘 살고 있습니다 - 30대 도시 부부의 전원생활 이야기
김진경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경의 '마당 있는 집에서 잘 살고 있습니다'는 저자가 자신의 삶과 가치관을 솔직하고 재미있게 풀어낸 에세이집이다. 저자는 출판사 편집자를 거쳐서 에세이 공모전에 대상을 수상하며 자연스럽게 작가의 대열에 동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건축가 남편을 만나서 도시생활을 하다가, 전세연장대신 우연한 기회에 경기도 양평에 전원주택을 지어, 시골생활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집터를 구하고, 건축가 남편의 주도로 직접 설계한 단독주택을 지어서 전원생활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책의 초반부는 저자의 어린 시절 가정사를 재미있는 문체로 써내고 있다. 지방의 딸부잣집에 태어났으나, 언니들과 다르게(?) 덜 예뻤다고 했으며, 대학을 서울로 진학하며 여러 가지의 주거형태 (주로 고시원)을 돌다가 결혼하고, 아파트에서 거주하다가 남편의 강력한(?) 요청으로 지금의 전원생활에 들어갔다고 한다. 저자는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선택하면서 얻은 행복과 만족감,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마주한 어려움과 고민을 쉽게 그러나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도시에서는 당연한(?) 음식배달도 전원주택에서는 쉽지가 않은 상황, 택배가 재대로 올 수 있을까 고민하는 상황 등은 참 현실적이다. 도시만큼 편리하지는 않더라도, 도시에서는 느낄수 없는 전원생활의 장점도 빠뜨리지 않고 적고 있다. 가장 현실적인 것으로, 나만의 전용주차장이 있다는게 큰 자랑거리라고 한다. 공동주택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느끼겠지만 주차문제는 늘 고민이고, 도시의 단독주택도 개인주자창을 주택 부지 안에 넣을 정도로 넓지 않다면, 주로 문앞의 길가에 세우게 되는 데, 아시다시피 이게 참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신문이나 뉴스의 사회면에 심심지 않게 나오는 이웃간 주차다툼으로 인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그외 나만의 텃밭과 정원가꾸기, 층간소움에서 자유로움, 계절을 느끼고, 흙을 밟으며 다니는 것은 참으로 예전에는 당연한 일이 요즘은 선물처럼 느껴지는 상황을 재미있게 풀어 내고 있다. 책의 곡곳에 전원주택의 내/외부 사진과, 주면의 풍경, 일상의 사진들이 컬러로 실려 있어, 요즘의 모바일 세대의 SNS를 글로 옮겨 놓은것처럼 보인다. 물론 건축가 남편의 의향이 많이 반영된 노출콘크리트의 내부 마감은 온라인처럼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완공후에 시멘트가루가 날리고, 특유의 유독냄새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소소한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건축을 전공한 현직 건축가가 자기 집을 지어도, 참 오지랍넖은 사람들이 많다.....책전반에 흐르는 저자의 유머러스하고 성찰적인 문체로 인해 물흐르듯 책장이 넘어간다. 마치 나도 저자와 함께 양평 문호리에 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누구나 한 번쯤 마당 있는 전원주택에서 살아보고 싶단 생각을 하고, 한적한 도시 외곽이 아니더라고 자기의 의견을 반영하여 직접 지은 집에서, 현관문을 나서면 흙을 밟을 수 있는 자연이 눈앞에 펼쳐지는 집에서 사는 삶은 모두에게 로망일 것이다. 간혹 시골생활을 못하겠다고 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얻어서 한적한 시골에서 며칠 지내다 오고 싶어한다. 현실은 바쁜 도시 일상이지만 이상은 자연속에서 느끼는 여유... ... 참 이중적이지만 말이다.

참 책의 끄트머리에는 집 짓는 과정에 대한 설명과 각 공정별 사진이 올라와 있으며, 전원주택 생활의 궁금증을 Q&A 형식으로 부록으로 들어가 있으며, 이 또한 재미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