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꿈 스타벅스 건물주
전재욱.김무연 지음 / 메이트북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벅스 커피프랜차이즈의 한국 대표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커피숍을 대변하는 말이 된지 오래다. 그냥 커피를 마시고 대화를 나누는 카페의 대명사라고 할 정도이고, 카카오톡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메신저에서 흔하게 주고 받고, 각종 경품으로 스타벅스 기프티콘이 가장 널리 쓰인다고 본다. 그만큼 우리나라의 커피산업과 떼어낼수 없을 정도의 위치에 있고, 전세계 스타벅스 중에서 가장 수익성이 좋은 곳이 한국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따라서 건물에 스타벅스가 입점한다면, 그 건물은 그 일대에서 준 랜드마크에 해당된다. 어느 동네 스타벅스건물 며층에 있다던가, 스벅 맞은편이라고 표현하면 대부분 어딘지 금방 인지한다. 그만큼 스타벅스가 부동산임대 시장에 끼치는 영향력이 대단하며, 흔히 스세권이라고 하는 스타벅스 지점의 유무에 따라 해당지역의 발전 척도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농담이 아니라, 신도시 지역, 외곽 변두리지역에 스타벅스 지점이 오픈되면 지역 인지도 및 부동산 인기도가 상승 한다.

1장은 스타벅스의 현주소를 설명하고 있다. 책의 저자는 영업기밀에 해당하는 사항을 가장 확실한 방법 전수조사(거의 전수라고 한다, 1653개이 등기부등본 2454장)을 직접 출력 분석했다고 한다. 사실 그전까지는 단편적인 스타벅스의 임대차 정보만 존재했다...가맹점없이 직영점만 운영한다...매출대비 00%의 식으로만 임대계약이 이루어진다...입점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브로커들이 존재하고, 그들을 통해야만 입점이 가능한다.... 소문만 무성했지 정확하게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현재의 스벅 매장들의 전체적인 통계가 쫙 나온다.

2장은 스벅의 입점과 건물가치의 상승에 대한 내용이다. 앞서 말했듯이 스벅은 해당지역의 작은 랜드마크인바 입점건물의 가치상승은 여러 가지 숫자로 증명된다고 하며 실제 사례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스타벅스 내부에 (당연하겠지만) 이런 점포개발을 전담하는 팀이 존재하고 있다. 상권과 구매수요, 인구의 증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먼저 입점을 건물주에 제안하기도 하고, 건물주 측에서 들어온 제안을 검토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탈락한 건물주들의 음해도 상당하다고 한다.

3장은 임대차에 계약의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나온다. 스타벅스가 건물을 사지 않고 임대해서 쓰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인다. 부동산 장사를 할 생각은 없고, 매장을 늘려서 커피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커피외 제품도 많이 팔리죠? 직영점만 운영하니 가맹점의 거리제한과 무관하게 스벅옆에 또 스벅이 가능하다. 또한 가장 안전한 임차인인만크, 전/월세권 등의 설정 등기 동의가 입점계약의 필수라고 한다. 할말 다하는 임차인이다. 또한 매출의 00%로 임대차 계약을 맺기만 한다는 스타벅스의 정률 임대계약외 정액임대 계약도 엄연히 존재하며 임대인과의 임차인의 합의로 선택할 수있다는 것이다. 통계상으로는 정률:정액의 비율이 2020년 기준 65:35 라고 한다. 상대적으로 정률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4장은 스타벅스와의 계약의 노하우를 말하고 있는데, 임차인(스벅)에게 갑질하기는 쉽지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보증금 없이 월세만 달라는 임대인도 많다고 한다. 임대료를 못 받을 가능성이 극히 낮으니, 보증금을 포기하고, 월세를 좀더 유리하게 받는 쪽을 택하는 것이다. 그외에 점포개발팀의 정확한 컨설팅이 돋보이는 부분도 등장하며, 당연히 그러하겟지만 임대인은 법인도 상당수 존재한다. 스벅이 입점할 정도의 건물을 개인명의로 취득, 보유하는 것은 세제면에서 여러모로 불리한다.

5장에서 건물주가 못 되면 건물주에 투자하라는 것은 스벅건물주가 그만큼 되기 쉽지 않고, 개인으로는 막대한 자금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벅건물주가 어렵다면 스타벅스 자체(이마트, 신세계 그룹)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라는 이야기다.

6장은 통계분석으로 알게된 스타벅스 건물주들의 연령대들에 대한 내용이다. 금수저, 은수저들도 등장하지만 가장 많은 세대는 50대 중장년층이다. 물론 부모를 잘 만나 미성년 건물주도 제법 있다고 한다.

끝으로 7장에 이러한 스타벅스의 현실을 볼때, 여러분은 이렇게 대응하기를 바란다는 식의 조언이나, 비판이 있으면 좋을뻔 했는데, 그냥 현실을 이렇다는 식으로 6장에서 급하게 마무리가 되는 부분은 좀 아쉽다. 그러나 소문으로만 들리던 스타벅스의 입점의 비밀을 통계적인 내용과 함께 알려주는 것은 고마운 부분이다. 내건물에 스타벅스매장을 유치하고 싶다면, 나도 언젠가는 스벅 건물주가 되고 싶다면 이 책은 매우 흥미로운 팩트로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