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답은 내 안에 있다 - 길 잃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 인문학
김이섭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은 <인생의 답은 내 안에 있다>이다. 인생의 답을 찾고 싶은 마음에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특히 ‘길 잃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 인문학’이라는 부제가 눈길을 끈다.




저자는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70여권을 책을 냈으며 오랫동안 연세대와 명지대에서 문학과 문화를 강의한 인문학자다. 


그래서 그럴까?

책 곳곳에는 다양한 문학과 문화에 관한 내용이 묻어난다.




이 책은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생유감 - 우리 삶을 꿰뚫는 다섯 가지 틀 -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지혜 - 삶에 던지는 아홉 가지 질문 - 인생 방정식의 답을 찾다 -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는 법 - 행복해지고 싶다면 - 삶에 품격을 더하는 라틴어 수업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마다 맨 마지막 부분에는 ‘인생을 위한 금언’이 있는데, 각 장의 주제와 관련된 고사성어나 격언이 여러 개 수록되어 있어 다시금 인생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내용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메커니즘: 인생에 작동하는 다섯 가지 원리. 


다른 책이나 글에서는 읽어보지 못했던 내용이라 무척 신선했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가 주장하는 인생의 본질적인 메커니즘을 읽으면서 무릎을 탁 치지 않을 수 없었다.


인생은 다섯가지 메커니즘이 작동한다고 한다. 톱니바퀴 메커니즘, 지렛대 메커니즘, 시계추 메커니즘, 방아쇠 메커니즘, 스위치 메커니즘, 이렇게 다섯가지다.


톱니바퀴 메커니즘은 한 마디로 톱니바퀴 하나가 멈추면 모든 게 멈춘다는 것이다. 인생도 서로 어우러져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생각해보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혼자서 독수공방하며 살 수 없다. 함께 사는 가족이 있고,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친구가 있고, 함께 일하는 동료가 있어야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


지렛대 메커니즘은 인생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힘이 아니라 조력자의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생에는 세 가지 점이 있는데, 힘점과 받침점, 작용점이다. 이 세 점이 있어야 인생도 움직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세상까지 움직일 수 있다.


시계추 메커니즘은 시계추는 쉬지 않고 움직이며, 언제나 균형을 유지하고 정확하게 시간을 가리키는데, 우리의 인생도 오랜 시간 중심을 잡고 달려가면 언젠가 진심은 전달되고 원하는 바를 이루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방아쇠 메커니즘은 방아쇠가 일정한 지점에 다다라야 비로소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것인데, 저자가 예시로 들고 있는 끓는 점인 비점, 어는 점인 빙점, 그리고 녹는 점인 융점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한마디로 임계점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변하지 않으니 우리의 인생에서도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다.


스위치 메커니즘은 긍정의 스위치를 켜면 부정이 긍정으로 변하고, 희망의 스위치를 켜면 절망이 희망이 되며, 행복의 스위치를 켜면 불행이 행복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사고는 긍정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긍정적인 행동은 긍정적인 삶으로 이어진다고 하니 늘 긍정적인 사고를 갖어야겠다.


 이 외에도 이 책에도 주옥같은 내용들이 다수 담겨있다. 무엇보다 9개의 장들이 서로 독립적이고, 또 각 장들 속에 나뉘어진 각각의 소주제들이 또한 별개의 내용이기 때문에 하루에 몇 개씩 정해놓고 읽어나간다면 좋을 것 같다.




이 책이 무엇보다 좋았던 점은 인생에 대한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다양한 문학적 내용과 삶의 지혜를 저자가 9개의 주제로 나누어 잘 버물리고 있어 이 책을 읽는 동안 그간 살아온 인생에 대해, 앞으로 살아가야 할 인생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또 책에는 여백이 있어 책을 읽으면서 언제든지 나의 생각을 메모할 수 있어서 좋았다. 


아마 이 책은 남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답이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면서 두고 두고 읽을 것 같다. 후회 없는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주옥 같은 글들이나 저자의 조언이 책의 여기저기에 묻어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던진 화두 중 아직까지 내 귀에 맴도는 문장 하나를 소개하며 끝을 맺을까 한다.


“인생에 대한 물음표가 느낌표가 될 때, 인생은 비로소 완성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