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생에 건물주 한번 돼보고 죽을랍니다 - 월급만으론 답이 없던 평범한 가장의 부동산 분투기
노동환(가붕개) 지음 / 알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쁜 세상이니 책을 읽은 전체적인 소감을 먼저 말하자면 읽을 수록 이 책은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부동산 투자의 장점과 투자하며 얻게 된 인사이트들을 자신의 경험담으로 풀어냈다.

무엇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과장없이 자신의 소신대로 적어두었다.

결론을 보자면 평범하지 않지만 진짜 평범했던 사람의 경험담이라는 게 읽을 수록 와 닿았다.

'어디가 몇배가 될거에요. 이 숫자를 좀 보세요.'라며 정신없이 많은 숫자를 나열하는 책이 아니어서 더 좋았다!!

(전문적인 분야의 글인데도 크게 막힘없이 술술 읽히는 걸 보면 필시 필력도 좋은 분이다.)

<이번생에 건물주 한 번 돼보고 죽을랍니다>

처음엔 제목이 조금은 극단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만큼 인상적이기도 했다.

'알키'라는 출판사명도 생소해서 검색해보니 시공사가 브랜드명을 '알키'로 내세운 것 같다.

네이버 부동산 스터디카페에서 활약한 가붕개님의 부동산 투자 에세이(?) 경험담(?)을 담은 책이다.

정권이 바뀌기 전 3~4년정도 부동산 가격이 엄청난 상승세를 타면서 가격이 무섭게 치솟아 올랐다. 그때 너도 나도 부동산 책을 읽고 경험과 예측을 담아 출간하고, 부동산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관심을 보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가 부동산 가격이 멈추더니 주르륵 미끄러지기 시작하고 부동산 거래가 급랭한다는 뉴스를 본지 6개월쯤 되었나?

이런 타이밍에 부동산 경험담을 책이 나온게 어쩌면 차분한 이성으로 볼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책 표지에 글자가 많은 책을 좋아하지 않는다.

임팩트 있는 문장만 실리는 걸 좋아하는데, 묘하게 글자가 가득 박힌 듯 느껴지는 이 책에 마음이 갔다.

아마도 이 문장이 나를 잡아세운 것 같다.

가만히 있으면 평생 남의 집만 전전할 것 같았어요

<이번 생에 건물주 한 번 돼보고 죽을랍니다>

나도 정확히 저 마음이 들어서 아파트 분양을 알아보러 다녔으니까.

이 사람은 어딘지 나와 같은 눈으로, 같은 마음으로 부동산 투자를 시작했겠구나 싶었다.

주식 투자를 권하는 사람들이 보면 기겁할 내용이 처음부터 등장한다.

그런데 내 주변에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는 사람이 종종 있다보니, '이 분은 부동산으로 성공했을지언정 모든 면에서 부를 쌓는데 성공한 건 아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경제 서적이나 자기계발 서적을 보다보면 인트로는 거의 대동소이하다.

주인공이 또는 저자가 바닥을 한 번 친다. 소설이나 드라마에서도 주인공이 위기에 빠져야 보는 사람들은 나와 처지가 비슷하거나 더 안쓰러워 보이는 주인공에게 감정을 이입하기 시작한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이 책은 도입부의 기획이 탄탄하다.

나는 정확히 저자가 주식투자에 실패하고 직장도 그만두는 부분에서 이 책에 강하게 몰입했다. 하하하.

부동산 책이지만 이분의 삶이 엿보이는 대목들이 종종 있었는데, 그런 대목들을 보면서 한 번 만나서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같이 나눠보고 싶은 인생 선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저자가 본격적으로 가깝게 느껴진 건 바로 이 부분에서였다.

현재 나에게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그게 삶의 태도라고 생각해요.

본업도 대충 하는 사람이 무슨 열정이 있어서 투자 공부를 하고, 발로 뛰며 현장을 임장하고,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노력하고, 부업으로 월수입을 늘리겠어요. 같은 일을 1만 시간을 하면 그 일에 통달할 수 있다고들 하는데요. 어쨌든 객관적으로 내가 지금까지 가장 많은 시간을 손았고, 다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나에게 있는 차별성은 본업입니다. 이 능력을 잘 개발해서 어떻게 활용한 수 있을지는 나에게 달려 있습니다.

<이번 생에 건물주 한 번 돼보고 죽을랍니다> 중에서

부자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우리나라는 돈에 대해 언급하는 걸 천시하는 문화가 있다. 내가 어린 시절엔 돈 이야기를 꺼내는 걸 굉장히 예의없고 되바라진 것처럼 여겼다.

언젠가 아이들 꿈이 어떤 직업이 아니라 '건물주'라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때 그 이야기를 하던 매체에선 아이들이 순수하지 않고 꿈이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했는데, 내 생각은 달랐다. 많이 갖고 싶고 능력이 되면 이익을 추구하는 건 본능이 아닌가? 잘 사는 사람이 부러우면서 돈 이야기를 꺼내는 건 죄악처럼 여기는 건 앞뒤가 다른 이야기다.

아이들이 '건물주가 꿈이에요.'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는 건, '돈을 많이 벌고, 갖고 싶어요.'라고 솔직하게 말 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는 걸 뜻하는 거란 생각이 들어 우리가 조금 더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세상에서 살고 있단 생각이 들었다.

돈 이야기를 잘 해야 손해보지 않고, 자신이 일한 만큼의 댓가를 제대로 따져보고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나는 모두가 부자가 되길 꿈꾸진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적어도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을 이렇게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으면 좋겠다.

'본업에 충실하라.'

투자를 하는 분들이나 투잡을 뛰시면서 두번째 직업에서 성공한 분들 이야기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삶을 대하는 태도는 자신이 주로 활동하는 영역에서 어떤 모습이냐가 말해준다고 생각한다. 본업에 진정한 애정을 가지고 성실하게 살면서 부자가 되고 싶은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가 더 '진짜' 같다. 그래서 이 책이 더 진짜같고 귀하게 느껴졌다.


착각하지 말자, 돈은 나만 없는 것이다.

아. 저 소제목이 아주 강렬했다.

돈은 나만 없는 거라니! 역시 그런거였어! 하하하.

이 책의 내용을 대부분 잊더라도 저 문장 하나는 잊지 못할 것 같다.

아! '가붕개'가 뭔지 몰랐는데, 알게 된 것도 하나의 소득이다 :)

오랜만에 재밌고 얻을 게 많은 경제서적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주말에 시간을 내서 읽을만한 가치가 충분한 책이었다.


https://sponsor.pubstation.co.kr/sponsor_banner.png?t=bb0f0ef1-cc7f-4893-909f-ce77d44f8e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