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네이버 영화카페(네영카)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현재 이라크지역 유프라테스강 유역이자 고대 도시국가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
3/1은 신이요, 3/1은 인간인 그에 대한 서사시

이 책은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 표준판본을 중심으로 깨져나가거나 훼손 된 부분은
수메르어 길가메시 시들,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의 구버전 파편들의 내용에서 보충하여 작성된 형태이다.

본문의 내용은 판본의 내용중 일부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으며 표준판본, 수메르어 시들, 구버젼 파편들 순으로 같은 내용이 반복된다.
일부 내용은 상이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인 맥락은 유사하다.
구전되어 다시 쓰여지면서 이야기가 일부 다르게 씌어진 듯 하다.
다루고 있는 에피소드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 속에서 읽을 수 있는 메세지는 제한적이다.

통치자로서 길가메시는 젊은 이들을 괴홉히거나 초야권이라고 하여 결혼하는 여인의 첫날밤을 자신이 치루는 악행을 일삼는다.
그리고 엔릴신의 명으로 삼나무 숲을 지키던 훔바바를 죽이고 신들에 대한 조소와 반하는 행동하거나
이쉬타르 여신의 청혼을 거절하고 신들의 노여움을 사 여신이 복수를 위해보낸 천상의 황소를 죽인다.
이런 행동들로 하여 신들이 그를 벌하기위해 아끼는 친구이자 신하인 엔키두를 단명시킨다.
그를 대신해 친구를 잃는 슬픔, 그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영생을 얻기위해 "우타니피쉬티"를 찾아나선다.
그는 인간으로 신들로부터 영생을 얻은자로 그 과정이 성경의 "노아의 방주"의 모티브가 된다.

본문에서 언급된 내용중에는 지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동양적인 사상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길가메시가 느티나무로 망치와 공을 만들어 우르크의 젊은이들에게 준다.
낮에는 공놀이에 빠져있고 밤이면 녹초가 된 남자들을 수발하는데 지친 여인들의 원성으로 신이 그 공과 망치를 지옥으로 보낸다.
이에 실의에 빠진 길가메시가 그 공과 망치를 찾으로 엔키두를 지옥으로 숨어 들어가지만 잡히고 만다.
여기에서 언급된 지옥의 모습
그리고 자식이 있고 없고, 제사를 지내주는 사람이 있나? 없나?에 따라 지옥에서의 처지가 달라진다는 내용을 읽으면서 "젯밥"도 못얻어 먹는다는 우리내 속담이 생각나게 한다.

본문 내용 이외에 이어진 해설집에서 본문에서 소개된 판본의 내용뿐 아니라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발굴과 번역 과정 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지만 트레일러 등으로 유추해보는 영화속 길가메시와는 큰차이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령생활기록부 케이 미스터리 k_mystery
나혁진 지음 / 몽실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5살 허영풍이 술에 취한채 골목길에서 칼에 찔려 살해 당한다.
인천지역 연쇄살인의 다섯번째 희생자.
그런데 그가 유령이 된채 떠돌게된다.
왜 내가 죽임을 당했는지?
그리고 왜 내가 유령이 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고 곧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의문이 생기면 유령되고 그 의문이 풀리면 사라지게 된다는것을 터득한다.

수면무호흡증으로 질식사 한 초등학생 철우
옛 연인 민영에 대한 미련으로 그녀 주의를 맴돌며 지난 시절의 과오를 되짚는다.
위기에 처한 그녀를 구해내고 새로운 짝을 이어주는 오작교가 되어준다.
친구와 가족주변을 배회하며 그들을 지켜보고 위험한 상황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화성연쇄살인사건의 플롯을 일부 차용한 듯 한 설정

다양한 유령들과 그들의 사정에 귀기울이고 생전 지인들 곁을 지키며 성장해가는 유령의 성장일기다.
개과천선이라고 해야 할까?

영풍이 그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어떻게 풀고 유령의 생을 마감하게 될지?
결론은 책속에서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를 좋아해서 그런 거야 VivaVivo (비바비보) 47
바바라 디 지음, 김선영 옮김 / 뜨인돌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
“내가 싫다잖아! 그게 어떻게 그냥 장난이야?”
성희롱 타깃이 된 중학생 밀라의 작은 용기

오미의 생일날 부터 시작된 농구부 캘럼, 리오, 단테, 토비아스의 장난
그것이 장난인지? 아니면 다른것인지 왠지 찜찜하다.
그 이후에도 리오가 자신의 생일이라 속이고 안아달라한것,
다음에는 토비아스가 리오도 안아줬으니 자신도 안아달라고 하며 그녀를 껴안고, 스쿨버스 안에서 이어진 그들의 장난
점점 그녀에게 의심스런 느낌
밀라를 두고 게임을 하는 남자 아이들

"밀라, 너를 두고 하는 게임이었어.
너하고 이야기해도 점수를 따고, 네 몸이나 옷을 만져도 점수를 따고-"
148p

지속되는 괴롭힘에 대해 말을 하려고해도
일이 커지고 주변 사람들에 피해를 주는 것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걱정이 앞선다.

결론적으로 선생님의 도움으로 사태를 마무리하고 사과와 용서를 받지만 과연 그들의 사과가 진심이였는지, 그들이 잘못을 깨달았는지는 의문이 남는다.

그들은 그냥 장난으로 치부하지만 엄연한 성추행 일수 있는 일들
당하는 입장에서 곱씹어 볼일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울 살인
천지혜 지음 / 책과나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거울은 반영이다.
좌우가 뒤바뀐 또 다른 형상
그렇지만 그것은 단순히 뒤집힌 형상일 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런 거울속 반영을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소설속 화자인 승언은 스물다섯의 대학생이다.
뱃속에 8개월 된 아이를 안고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유일한 피난처인 집에서 인간 쓰레기이자 돼지 김용순(새아버지)과 마주하게 된다.
뱃속 아기를 죽이려나하는 돼지에게 저항하다 그를 죽이게 된다.

그때 승언에게 비친 거울의 뒷면은 현실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현실 세계에선 승언의 뱃속 아이를 잃게 되고 그녀는 살인자가 된다.

반면 거울속 반대편에서는 뱃속 아이를 살리지만 동생 제언이 살인자가 된다.

불행한 현실에 대한 탈출구로
거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단순히 좌우가 바뀐 삶이 아닌 다른 결과를 보이는 또 다른 삶 속으로 넘나든다.

선택이 가능한 삶이지만 함정과도 같은 또다른 단면
나비효과, 뫼비우스의 띠 등의 문장이 떠오르는 이야기

마치 꿈을 꾼 듯한 결과 그리고 마주치게 되는 현실
어떤 쪽의 삶이 승언을 행복하게 할지?
과연 그녀가 원하는 삶이 존재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 전래특급 - 너무나 낯익지만 잔혹한 이야기
박해로 지음 / 북오션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 책에는 네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의 내용이 크게 자극적이지 않기때문에 연령에 상관없이 읽을 내용이지만 "전설의 고향"을 보면서 큰 세대에게 더 어울릴 듯한 내용이다.
이야기가 진부하고 올드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전설의 고향에서 차용한 코드들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영화를 볼때 각 세대와 인종, 국가에 따라 웃고 우는 포인트가 다른 경우가 있는 것 처럼 작가가 심어놓은 코드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어서다.

총 네개의 이야기는 전래동화와 고전소설인 춘향전, 햇님 달님, 심청전, 도깨비 감투 이야기를 담고있는데 내용은 사뭇 다르게 전개 된다.

외계인과 서양악마가 등장
전래동화와 소설을 절묘하게 비틀었다.
이야기의 상관관계나 원전에서 묘사되지않은 이전이야기와 주인공이 왜 그곳에서 살게 되었는지 등에 대한 색다른 설정이 가미되어 있다.
예를들어 햇님달님의 엄마가 산에서 살게된 이유부터 천주교 박해라는 역사적인 사실들과 결부시켜 절묘하게 엮었다.

책의 줄거리는 중요치 않다.
전래동화나 소설에서는 기승전 권선징악에 심층적인 내용들은 생략되는것이 대부분이라 내밀한 캐릭터의 묘사와 사건의 개연성등이 부족한데 이 책에서는 좀더 살을 더했다고 볼 수 있겠다.
박해로 작가의 페르소나 같은 "섭주"라는 지명이 어김없이 등장할 뿐만 아니라 주인공과 더불어 익숙한 캐릭터들이 군데군데 포진해있다.
일종의 까메오다.
그것도 주연급들이 말이다.
마블영화에서 스탠리가 늘 등장하는것 못지않게.
"니가 왜 거기서 나와!"라는 노랫말을 떠 올리며 웃음짓게 만든다.
햇님과 월녀집 근처에 장화와 홍련이 멸문지 화를 피해 숨어살고
심봉사 옆집에 흥부부부, 그리고 혹부리 영감이 산다.
외계인이 등장하고 하멜(소설속에서는 "하벨")이 조선으로 표류해 오기도 한다.
"내 다리 내 놔라"
"이 도끼가 니 도끼냐?"
등 다양한 웃음 코드가 숨어있어 찾아보는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