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네이버 영화카페(네영카)에서 제공한 도서로 작성한 것입니다.

현재 이라크지역 유프라테스강 유역이자 고대 도시국가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
3/1은 신이요, 3/1은 인간인 그에 대한 서사시

이 책은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 표준판본을 중심으로 깨져나가거나 훼손 된 부분은
수메르어 길가메시 시들, 바빌로니아 길가메시 서사시의 구버전 파편들의 내용에서 보충하여 작성된 형태이다.

본문의 내용은 판본의 내용중 일부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으며 표준판본, 수메르어 시들, 구버젼 파편들 순으로 같은 내용이 반복된다.
일부 내용은 상이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인 맥락은 유사하다.
구전되어 다시 쓰여지면서 이야기가 일부 다르게 씌어진 듯 하다.
다루고 있는 에피소드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 속에서 읽을 수 있는 메세지는 제한적이다.

통치자로서 길가메시는 젊은 이들을 괴홉히거나 초야권이라고 하여 결혼하는 여인의 첫날밤을 자신이 치루는 악행을 일삼는다.
그리고 엔릴신의 명으로 삼나무 숲을 지키던 훔바바를 죽이고 신들에 대한 조소와 반하는 행동하거나
이쉬타르 여신의 청혼을 거절하고 신들의 노여움을 사 여신이 복수를 위해보낸 천상의 황소를 죽인다.
이런 행동들로 하여 신들이 그를 벌하기위해 아끼는 친구이자 신하인 엔키두를 단명시킨다.
그를 대신해 친구를 잃는 슬픔, 그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영생을 얻기위해 "우타니피쉬티"를 찾아나선다.
그는 인간으로 신들로부터 영생을 얻은자로 그 과정이 성경의 "노아의 방주"의 모티브가 된다.

본문에서 언급된 내용중에는 지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동양적인 사상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길가메시가 느티나무로 망치와 공을 만들어 우르크의 젊은이들에게 준다.
낮에는 공놀이에 빠져있고 밤이면 녹초가 된 남자들을 수발하는데 지친 여인들의 원성으로 신이 그 공과 망치를 지옥으로 보낸다.
이에 실의에 빠진 길가메시가 그 공과 망치를 찾으로 엔키두를 지옥으로 숨어 들어가지만 잡히고 만다.
여기에서 언급된 지옥의 모습
그리고 자식이 있고 없고, 제사를 지내주는 사람이 있나? 없나?에 따라 지옥에서의 처지가 달라진다는 내용을 읽으면서 "젯밥"도 못얻어 먹는다는 우리내 속담이 생각나게 한다.

본문 내용 이외에 이어진 해설집에서 본문에서 소개된 판본의 내용뿐 아니라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발굴과 번역 과정 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지만 트레일러 등으로 유추해보는 영화속 길가메시와는 큰차이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