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내일 - 1차세계대전에서 이라크 전쟁까지 아이들의 전쟁 일기
즐라타 필리포빅 지음, 멜라니 첼린저 엮음, 정미영 옮김 / 한겨레아이들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왜 한국 전쟁의 아픔은 나와있지 않은 것일까?'

베트남 전쟁도 이라크 전쟁도 모두 가슴아프고 슬픈 기억속의 전쟁들이지만 냉전시대의 아픔의 기억이자 동족 상잔의 비극이 담긴 한국전쟁에서 겪은 그 고통과 슬픔의 시간도 담겼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니 전 세계에 분쟁과 내전, 침략으로 인한 전쟁은 무수히 많았고 그 모든 전쟁속에서 고통받는 사람은 어린아이들과 노약자 그리고 그들을 지키기 위한 명분아래 총칼을 들었던 젊은이였으니 어느 한 전쟁이 안담겨 있다고 투정할수는 없을것 같다.




'손님들이 명함을 주고받듯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선전포고를 보며 "실례지만 제 선전포고도 받아주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제것도 받아주세요." p.39  라고 표현한 아이의 일기는 아이러니한 모습이며 해학적으로 보였다.. 

 언제나 전쟁이 끝날지 목빠져라 기다리는 그 소식은 오지 않고, 하루가 지나면 또 다른 나라가 참전해 전쟁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선전 포고를 하고 있으니 아이의 눈에 그 모습이 마치 처음 만난 사람들이 식당 테이블에서 서로 명함을 건네며 인사하는 모습과 비슷하단 느낌을 받았나보다. 다만, 예의와 미소가 없다는게 다르겠지만. 

 "겁에 질려 부들부들 떨며 어쩔줄 몰라하는 열일곱살 소녀다. 어디론가 달아나고 싶은데 정말이지 이 끔찍한 모습을 더는 보고싶지 않은데. 도대체 어디로 간단 말인가."

 한 한국의 프리렌스 PD가 어느 기자들도 가지않던, 관심조차 주지않던 분쟁지역 한복판으로 달려가 그곳에서 짖밟히고 있는 여성의 인권과 아이들의 고통을 영상에 담아와 세상에 보여주었다. 아무도 몰랐을, 아무도 관심가져 주지 않았을 그들의 삶과 고통을 이렇게 영상으로 담아 세계에 알려졌고 사람들은 관심을 가지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 수 있었던 것이다.  아이들도 커서 전쟁에 대해 세상에 알리는데 노력했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노력했다는 후기글을 읽으니 뭉클한 마음과 그들이 받은 고통을 다시는 누구도 겪지 않게 해야한다는 의지가 느껴졌다.


 이 책의 기록은 아이들의 일기지만, 한편의 영화를보듯 그들이 그 전쟁의 한복판에서 겪어야 했을 고통을 머리속에 그려볼 수 있었다. 수용소에서 맞아죽은 아버지를 봐야했던 아이, 전쟁터에서 시체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준 오빠의 모습을 본 아이, 독일군이 수시로 찾아오는 집의 지하실에서 살며 하루하루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야했던 아이까지....
 
 아이들을 위한 이 책은 전쟁의 공포와 슬픔, 그리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감정이 고스란히 드러나있다. 아이들의 눈으로 본 솔직하고 거짓없는 느낌. 최근에 있었던 그루지아 사태와 이라크 전쟁에서 다치고 죽은 아이들 이야기와 함께 아이들을 구호하기 위한 민간 단체들의 노력을 이야기 해 주면 좋은 교육용 책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