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세에 답하다 - 사마천의 인간 탐구
김영수 지음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Review)
 

책을 펼치고 손을 놓을 수 없이 재미있게 읽었다. 놀라울 정도의 흡입력이었다.


사기. 오래된 중국의 역사서이자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진 이 책. 어렵게 느껴지고 고전이라는 이름으로 다가가기 힘들었는데 ‘난세에 답하다’ 이 책은 정말 쉽게 그리고 이해하기 좋게 설명된 책이다.


특히 책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자기계발서나 강연 등에서 종종 인용하는 사례들의 원래 이야기여서 더더욱 흥미를 끌었다.

“역사서를 편찬하기 위해 궁형(성기를 거세하는 형벌)을 당하는 치욕을 감수한 사마천”

어떤 분이 오마이뉴스에 올린 기사를 읽고 부끄러운 생각도 들었다. 우리가 얼마나 사기를 모르며 어려워하는지 한탄하고 있었다. ‘난세에 답하다’ 역시 사기의 내용을 정말 쉽게 풀어썼는데도 읽어본 사람들이 어려워 한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했다. 부끄럽지만 나 역시 이 책을 접하기 전에는 사기가 어떤 책인지 알지 못했다. 단지 중국의 역사서일 뿐이란 생각이었다.

‘난세에 답하다’에는 한 조직을 이끌어가는 수장의 역할, 조직을 뒷받침해주는 책사들의 이야기, 일반 말단 공무원들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삶과 처세술이 가득 들어있어 과거 사람들의 욕심과 리더십, 병법을 통한 문제를 대처해가는 모습, 성공한 사람들과 실패한 사람들의 원인을 분석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처세술을 가르쳐주고 있다.


현실의 정치인도 사기를 통해 바른 생각을 품었으면...

무문왕법(舞文枉法)이란 말이 “글을 춤추게 만든다는 의미로 지식인이 세상을 어지럽히는 가장 전형적인 수법으로 글을 교묘하게 꾸며 무고한 사람을 죄에 빠뜨리는 일을 일컬어 풍자하는 것”을 칭하는 사자서어다. 법을 피해 교묘한 말로 빠져나가는 정치인과 기업인들의 비리를 풍자할 때 쓰면 딱 좋은 말이 아닐런지.


손빈병법의 저자 손빈의 이야기는 드라마에서도 자주 애용되는 사례가 아닐까싶다. 오랜 친구이자 동문인 방연이 손빈의 잘나감을 시기해 그를 함정에 빠뜨리고 두 다리를 자르게 만들고, 이후에 도와주는 척 하며 그에게서 가문의 가보인 병법서를 빼앗기 위한 계략으로 친구를 이용하는 것은 드라마에서도 종종 친한 척 친구인척, 애인인척 하며 모든 것을 빼앗으려는 모습들과 같다.




  눈여겨 볼 부분

친구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선인들이 남긴 치욕적인 내용과 그들의 실수담이 무척 많이 담겨있다. 역사서를 쓰는 사람들이 역사는 순환된다고 했다. 어느 유명 정치인도 옛 왕들이 그랬듯이 한순간의 실수로 부귀영화를 모두 날려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면에서 사기는 우리에게 과거의 고리타분한 이야기가 아닌,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 사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어렵게만 느껴진 고전을 흥미로운 이야기와 현재의 우리도 충분히 수긍할 만한 이야기로 쉽게 풀어준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