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 500년 조선사를 움직인 27인의 조선왕, 그들의 은밀한 내면을 파헤친다!
강현식 지음 / 살림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에 부단한 상호작용이며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 E.H Carr [역사란 무엇인가] 중에서..

 




역사는 바로 역사를 기록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현실의 상황이 이입되기 때문에 실제적인 기록과 현재의 상황이 이입되어 기록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부분들이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에 자세히 설명되고 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왕들의 이야기, 폭군으로 묘사되고 왕조를 뒤엎고 새로운 왕조를 시작한 왕의 극단적 이야기는 심리적인 측면과 역사적인 상황을 다시 재현해 극단적 묘사의 잘못과 그들의 행동패턴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세조와 신하간의 갈등, 사육신과 세조와의 갈등 부분에서 이광수의 소설 ‘단종애사’에 일제의 만주정벌야욕의 현실을 사육신과 세조의 관계로 묘사해 사람들이 현실의 아픔에 감정이입시킴으로써 세조에 대한 폭군 이미지를 고착시켰다는 것이다.

 

 조선왕조의 이야기를 정사와 야사의 적절한 조합 속에서 심리학적인 측면으로 사건들을 규명해 가는 누다심. 무척이나 흥미롭고 새로운 시선으로 사건을 바라볼 수 있다. 특히나 드라마의 주요 소재로 쓰이는 여인들의 갈등, 왕과 자식들 간의 대립과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왕과 신권을 강조한 신하간의 대립 등 그들의 심리적인 문제와 사건들의 흐름이 일목요연하게 나타나 조선왕조실록속의 이야기가 재미있게 다가온다. 



 



 역사학자들이나 역사 소설 속에 묘사된 왕들의 모습보다는 그들이 행동하게 된 원인과

 


그로인한 결과들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해주며 기록이나 소설속의 내용이 진실이 아닐 수도 있음을 살짝 내비치기도 한다.

 우리가 익히 들어왔던 사건들 당사자들의 심리를 밝힘으로써 그들이 왕이나 왕후, 권력에 야망을 가진 인물들, 왕자가 아닌 한 사람으로서 느껴진다.

그들도 완벽한 존재가 아니기에 권력의 암투와 자기 자신의 마음속 욕망과 고통 속에 살았으며 그 마음속에 억눌린 감정들이 분출되어 여러 사건들을 만들어냈음을.


 새로운 시각으로 본 조선왕조. 무척이나 즐겁고 색다른 맛이 난다. 끊임없는 역사와의 대화, 심리학에서 본 역사는 어떨지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