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심득
위단 지음, 임동석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위단의 논어 심득>
 
 
 “공자의 이야기는 현실에 가깝게”


 ‘누가 논어를 케케묵은 옛 이야기이며 두껍고 어렵기만 한 고리타분한 책’이라고 했는가?‘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치며 했던 말들을 엮어 만든 것이 논어다. 오랜 시간동안 아시아인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해온 공자의 말들은 그동안 너무 어렵거나 두루뭉실하다는 느낌을 주었었다.

  시대가 변하고 강산이 변하듯 사람들의 생각도,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도 변화해 간다. 오죽했으면 그간의 생각을 뒤집어엎고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는 블루오션 전략이 생기게 되었겠는가. 그런 면에서 논어를 오랜 옛날 그대로 해석하고 '인간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선비는 말이지. 예의란 말이다.’ 등등 옛 그대로의 해석에만 머물고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보며 몇 백 년 전의 인간과 같은 수준의 생각밖에 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어려운 논어를 쉽고 간결하게 해석해 주지 못해 직접 프로그램에 나오게 되었다는 위단. 일약 스타가 되어 논어를 쉽고 실생활에 풀어서 해석해 주기에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대단하게 쳐다본다.

 

 위단의 논어심득을 읽다보면 왜? 란 의문이 들지 않는다. '공자는 왜 이렇게 말한 걸까?'라고생각하기보다는 공자가 제자에게 다소 두루 뭉실 한 듯 하지만 여러 가지 생각과 사상이 담겨진 말을 던질 때 그것을 풀어 해석해보면 '지금의 나의 상황' 혹은' 나는 정작 저렇게 할 수 있을 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오히려 나에게 물어본다.

"나는 저렇게 할 수 있냐?"  "나에게는 공자가 말하는 벗이 있으며 나는 그런 벗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


 ‘군자는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절대 부화뇌동하지 않는다.’고 했다. 개인의 목소리를 조화롭게 융합시키며 화합을 일으키는 것이 군자라 했다. 행복은 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있는 것이다. 친구 간에 거리가 있어야 하지 너무 가까이 해서도 멀리해서도 안 된다고 이야기 한다.  

 어렵지도 오래된 이야기도 아니다. 흔히 우리가 접해 본 동화 같은 이야기 속에도 공자의 말은 담겨있으며,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사건들 속에도 공자의 사상과 가르침이 담겨져 있다. 위단은 그런 가르침을 모아 쉽게 이야기하고 있다.

 


 책을 덮으며 '공자가 이렇게 가까우며 편한 인물이었나?'란 생각에 빠져들게 된다. 한자 성어로 말을 만들고 한시를 지어 읊던 시절이 아니라 공자가 말했던 것을 현대적으로 옮겨 해석해 우리가 받아들이기 쉽게 만든다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이 책에도 안타까운 부분은 지금 이 시대에서 누가 군자를 찾으며 누가 선비를 찾는단 말인가? 비록 공자가 말하는 선비의 길이나 사람이 걸어야 할 인생의 길, 천지인의 길이 있지만 조금 만 더 현실에 맞게끔, 현대 사람들이 왜 공자의 가르침을 다시 돌아봐야 하며 공자가 말하는 선비는 지금 같은 세상에 어떤 존재여야 할지, 왜 공자가 정치인을 한 말 그릇도 안 되는 편협한 인간이라 했으며 우리는 그런 공자의 가르침을 받아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보다 나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그런 의미가 담겨져 있지 않아 안타깝게 느껴진다.


 어린 학생들에게 공자의 말은 지금 사상들의 원류이자 오랜 옛날 가르침을 주었던 위대한 인물로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왜 공자의 말을 들어야 하며 공자의 가르침이 아직도 우리에게 따끔한 충고이자 삶의 안내서임을 알지 못한다. 그런 의미에서 위단이 행하는 논어 강의는 좋은 방향이 아닐는지 싶다. 한권의 책에 다 실지 못한 위단의 논어 이야기가 앞으로 더욱 많이 전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위단의 논어심득 인기 이유는?>

  여러 국내 언론에서 위단이라는 교수의 논어 강의 후, 중국 내에서 공자 열풍과 고전에 대한 중국인의 관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일부 언론에서는 고전작품에 대한 인기 이유를 “최근 중국사회에 도덕과 신념이 무너지고 있는 것에 대한 중국인들의 깊은 좌절감과 분노를 반영하는 또 다른 사회현상” (한국일보) 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독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마르크시즘과 레닌주의를 배우며 자랐으나 대학에 입학한 뒤 뇌물을 받는 교수들의 행태를 보면서 공산주의 사상이 중국에서 적실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으며 1970년대 개혁 개방 이후 국가경제가 눈부신 성장을 이어가면서 삶의 질이 높아졌으나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이기심이 확산되면서 공자나 장자의 사상에서 위안을 얻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매일경제)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나친 상업주의라는 (위단 교수는 이번 강연과 책 발행으로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 비판론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고전작품 붐에 대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빠른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빈부격차가 발생하고 불안한 만큼 공자와 같은 유교사상을 통해 불만을 잠재우고 세계적으로 알리려는 두 마리 토끼잡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중국의 빠른 개혁 속에 정신적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고전을 찾는다는 것은 확실한것 같다. 잘 살게 될 수록 마음과 영혼의 치유를 중요시 한다는게 맞는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