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누구를 위해 일하십니까?
이영대 지음 / 이코노믹북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이렇게 부끄러운 걸까? 초봉이 얼마이며 복리후생은 어떻고 주5일 근무여야하고, 고참은 좋은 사람이어야 한다는 확고한 직업 기준으로 그에 부합하지 않으면 무조건 안 좋은 회사로 생각해버리고 더 좋은 회사를 찾아 두리번거려야 했던 나에게 “당신은 누구를 위해 일하십니까?”는 따끔한 충고를 아낌없이 해준 책이다.

 

 누군가는 보잘것없는 위치에 있다고 손가락질 하더라도 본인은 확고한 신념과 뚜렷한 목표가 있다면 누군가의 수군거림이 무엇이 부끄럽겠는가. 작은 월급이지만 일을 하며 무엇인가 배울 수 있다는, 인생의 쓴맛을 경험해도 좋고 인생의 즐거움을 경험해도 좋으니 조금씩 사회에서 나의 위치를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게 가장 중요한 직업의식이 아닐까?




 책을 한 장 한 장 읽어가며 직장에서 새내기 사원에게 어떤 것을 원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조금씩 알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을 하는 새내기 사원의 태도에 있는 것이었다. 조금만 힘들면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빠져나가기 바쁘고 잘못된 일에 화를 내면 인상을 찌푸리며 달려들 기세다. 작은 일을 하더라도 나의 일처럼 소중히 하고 열심히 하려는 그런 태도, 계산을 했을 때 약간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넓은 생각과 포용력으로 손해를 열정으로 커버해 태도를 바꾼다면 분명 인정받는 사원이 될 것이다.




 얼마 전 뉴스에서 신입사원의 50% 이상이 1년 내 이직을 준비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과 회사가 맞지 않다는 의미도 있겠지만 쉽게 회사의 일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더 나은 조건이 없나 생각하며 메뚜기처럼 이곳저곳을 쫓아다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곰곰이 나의 태도를 돌아보자. 세상에서 내 그릇을 빼앗기며 일하는 게 어리석다고 이야기 하지만 혹시 나는 내 그릇만 챙기려하지 남의 그릇이 위태로워 보이거나 내 그릇을 담아주고 전시해 주는 회사라는 그릇 장이 휘청거리지는 않는지, 너무 튀는 내 그릇 때문에 주변의 그릇이 주눅 들지는 않았는지 혼자만의 생각으로 조직을 무너뜨리지는 않는지 돌아보게 해 준다.

 열정으로 회사를 위해 일 하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을 위한 투자인 것이다.




“저는 제 자신의 꿈과 미래를 위해서 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을 통해서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고 그 가치는 월급과는 비교도 할 수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일을 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만들어가고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는 사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