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화인류학 강의 - 사피엔스의 숲을 거닐다
박한선 지음 / 해냄 / 2024년 7월
평점 :
인간의 기원과 발달에 대한 호기심은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았을 것 같다. 특히 요즘처럼 복잡한 사회 관계망 속에서 인간관계를 고민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인간이 어디에서 왔고, 어떻게 지금의 모습과 성격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그러던 중에 ‘사피엔스 숲을 거닐다'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 『진화인류학 강의』를 발견하고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이 서울대학교 인기 교양 강의인 ‘진화와 인간 사회’의 공식 교재라는 점에서 흥미로움과 신뢰감이 들었고, 또 한 편으로는 괜히 어렵게 느껴지는 진화인류학이라는 거창한 학문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이 책을 통해 인류의 경이로운 진화 여정을 탐험하며, 우리가 왜 이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인간에 대해 조금 더 폭넓게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보았다.

이 책의 저자는 박한선 교수로, 그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자 진화 인류학자이며 신경정신과 전문의다. 그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호모 사피엔스의 다양한 행동 양상을 진화생태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과 강의에 출연하여 진화인류학 관점에서 인간 행동과 사회 현상에 대해 이야기했다. 저자 소개를 보며 인류학에 대한 전문성과 신뢰성 그리고 다재 다능함이 느껴졌다. 다른 저서로는 『인간의 자리』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마음으로부터 일곱 발자국』 등이 있고, 『휴먼 디자인』 『재난과 정신건강』 『감염병 인류』 『단 하나의 이론』 『자살 예방의 모든 것』 『행동과학』을 공저했으며, 『진화와 인간 행동』 『여성의 진화』 『행복의 역습』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오랫동안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획득한 호모 사피엔스의 특별한 무늬,
있는 그대로의 인간성을 이해하기 위한 진화인류학 교과서
저자는 이 책 ‘진화인류학 강의’를 통해 독자에게 인간의 본질과 사회의 형성을 깊이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책을 펼치면 먼저 진화인류학의 숲에 들어서기 전에 진화인류학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지구 환경 변화에 따른 인류의 진화 이야기를 다루며, 자연선택과 성선설 등 유전학에 관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저자는 이 책을 방대한 영역을 다루는 난해한 진화인류학을 쉽게 풀어 쓰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과학/역사와 관련된 배경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역시 쉽게 읽히지는 않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펼친 후 조금 더 인내심을 가지고 읽다 보니, 책의 내용이 갈수록 매우 흥미 있게 느껴졌다.

책은 인간이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도구를 사용하게 되었고, 큰 뇌를 가지게 되면서 복잡한 사회와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애착과 협력, 결혼과 가족, 도덕과 종교 등은 인간 사회의 중요한 요소로, 이러한 사회적 감정과 규범 또한 인간의 진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다 보면, 인간의 기원과 발달, 그리고 현대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저자는 이러한 설명의 각 장이 끝나는 지점에는 ‘토론해 봅시다’라는 코너를 통해 질문을 던지는데, 알게 된 지식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며,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잔화의 창으로 바라본 인간의 몸과 마음 그리고 사회
복잡한 인간성을 알고 싶다면 지금 당장 진화 인류학을 만나라!
이 책 ‘진화인류학 강의’를 읽으며, 조금이나마 인간의 기원과 발달에 대한 이해를 가지게 된 것 같다. 책의 내용 설명은 명료하고 이해하기 쉬워서, 진화인류학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왜 그것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고, 인간의 행동과 사회적 현상이 진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로웠다.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도구를 사용하게 되고, 큰 뇌를 가지게 되면서 복잡한 사회와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는 점은 놀라웠고, 특히, 구석기 시대 유물인 전곡리 '주먹도끼'와 관련된 아슐리안 주먹도끼에 관한 내용은 매우 흥미로웠다.
진화인류학 강의와 함께 읽으면 좋을 만한 책으로,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가 떠올랐다. 인류의 기원과 발달, 그리고
사회적 현상에 대한 더욱 폭넓은 이해는 개인의 행동과 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행복의 길을 찾는데도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이 책들은 인류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인간 사회의 형성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이 책은 진화인류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입문서가 될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자신과 우리 사회를 더 깊이 이해하고, 인류의 진화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