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우스의 승리
루이즈 글릭 지음, 정은귀 옮김 / 시공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낙엽지고 찬바람이 불 때면 시집을 넘겨보고는 한다. 시를 읽다 보면 왠지 계절의 변화와 함께 나의 생각과 마음 또한 조금씩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시를 읽는다는 것은 나를 알아가는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이 번에 읽어본 시집은 루이즈 글릭의 네번째 시집 『아킬레우스의 승리』이다.





루이즈 글릭(Louise Gluck)은 미국의 시인이자 수필가로 202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 그의 작품은 세련되고 감수성 넘치는 언어로 표현되며, 자아탐색과 인간 감정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시는 국내에 번역본이 없어 잘 알려지지 않았었는데, 이번에 시공사에서 그녀의 시집이 시리즈로 발간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되었다.


『아킬레우스의 승리』는 1985년 발표되어 그녀에게 전미비평가상을 안겨준 네번째 시집이다. 이 시집에는 그가 상실의 시기를 통과 하면서 쓴 시들로 엮어져 있다고 한다. 그 시기에 시인은 시골집이 화재로 소실되고, 아버지가 병으로 죽음을 맞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시를 읽다 보면 삶과 죽음, 사랑과 손실에 대한 깊은 사유를 하게 한다.


자기 천막 안에서, 아킬레우스는 / 자신의 온 존재로 슬퍼했다 / 그리고 신들은 보았다

그가 이미 죽은 사람임을, / 사랑한 쪽의 제물이었음을, / 죽을 운명이었던 쪽의,  P31 <아킬레우스의 승리 중에서>


이 시집의 대표시 아킬레우스의 승리는 너무나도 잘 알려진 그리스 신화 속 이야기이다.  시를 읽으며 친구인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을 슬퍼하는 아킬레우스의 슬픔과 분노, 그리고 아킬레우스의 승리인 헥토르의 죽음과 신들이 정해준 아킬레우스의 죽음 등을 생각하며 인간의 복잡한 삶과 그 안의 감정들, 운명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이 떠올랐다.





시집에는 26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90여페이지 분량의 작은 책임에도 매우 무겁게 느껴졌다. 신화와 신앙에 관련된 인간의 원형과 근원적인 주제에 관한 시인의 깊은 고찰은 시를 여러 번 반복해서 읽고 생각하게 만든다. 낙엽이 지고 찬바람이 불어오는, 자연의 변화가 일어나는 이 시기에 작가의 표현을 통한 삶의 새로운 깨달음은 가볍지가 않다.


노새는 점점 더 비틀거렸다, 어둠 속에서 / 길이 힘들어졌기에, 그럼에도 그들은 계속 나아갔다, / 우리 세상과 같은 세상에서, 사람이 다스리지 않고 / 하늘에 있는 동상에 지배되는 세상에서 -  P20 <겨울 아침 중에서>


그래서 파라오는 아이 앞에 / 두 개의 쟁반을 놓는다, 하나는 루비, 하나는 불타는 불씨;

내 마음의 빛, 세상은 / 당신 앞에 놓여 있다; / 어느 쪽이든 불, / 대안 없이 불-  P69 <밤 없는 낮 중에서>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난을 가는 어린 예수 그리스도의 가족과 파라오를 피해 이집트를 탈출하게 될 모세의 운명을 앞에 두고 시인이 나에게 전해주는 의미는 의미심장하게 느껴진다. 죽음을 앞두고 늙음과 병고에 시달리는 아버지를 관찰하며 지은 시 <앉아있는 모습><어른의 슬픔> 또한 깊은 생각을 전해주고 있다. 얼마전에 시인의 죽음을 알리는 신문기사를 봤는데, 시인은 죽음을 앞두고 어떤 생각을 했을 지 문득 궁금해진다.





이 책을 감성적이고 깊은 사유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을 통해 심오한 인간 감정과 존재의미에 대해 깊이 고찰하며, 루이즈 글릭의 시적 세계에 흠뻑 빠져들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의 다른 시집 또한 매우 궁금하고 기대된다. 올 겨울을 지내며, 긴긴 밤을 루이즈 글릭의 시로 채워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하루 종일 나는 욕망과 / 필요를 구분하려고 애썼다. 이제, 어둠 속에서 / 나는 우리들의 쓰라린 슬픔만을 느낄 뿐이다,   P76 <느릅나무>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