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세에 합당한 우리 연애 - 박화성과 박서련의 ㅣ 소설, 잇다 6
박화성.박서련 지음 / 작가정신 / 2024년 10월
평점 :
글 속에서 과연 그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정세'는 어떠했는가를 계속 되새기고 되물으며 책을 읽었습니다. 먼저 박화성 작가의 글은 그 정세를 어렴풋이 알고 있기에 슬프고도 놀라웠고 박서련 작가의 글은 내가 지금의 정세 속에 살고 있기에 씁쓸하고도 유쾌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다시 말하자면 박화성 작가가 글을 쓰며 살아가던 시기는 일제강점기였고 여성과 노동자와 조선인과 소시민들에게 특히나 부조리한 시대였습니다. 그 시대의 정세 속에서, 작가가 '여류 작가'라는 멸칭을 들으면서도 그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써낸 글은 현대인의 눈으로 보기에도 촌스럽거나 낡은 구석이 별로 없습니다. 그것은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합니다. 하나는 시대를 보는 작가의 의식이 굉장히 혁명적이었다는 것, 다른 하나는 작가가 쓴 소설들이 시대를 뛰어넘는 보편성을 간직한 서사라는 것입니다.
식민지로서의 비참함을 간직한 조선인들의 처지에 더해 제각기 여성, 노동자, 소작인이라는 이유로 이중으로 억압 받는 인물들이 저마다의 가슴 속에 혁명의 씨앗을 틔우며 이야기를 맺을 때, 그 씨앗을 넘겨 받은 후대의 마음으로 이야기를 소화하게 됩니다. 그래서 작가의 빛나는 재능을 흠모하게 되면서도, 아직도 이 이야기가 보편성을 담보한다는 사실이-그때의 정세에 합당하지 못했던 일들이 지금도 여전히 합당하지 못하다는 사실이- 슬펐습니다.
박서련 작가는 현대의 여성 작가로서, 박화성 작가가 던져놓은 부조리에 대한 질문들을 넘겨 받습니다. 저 역시도 학생회를 경험한 사람으로서, 학생회를 함께 했던 친구들끼리 총여학생회가 있어야 한다고 우스개소리로, 때로는 진지하게 이야기했던 기억이 있어서 이 이야기들이 유독 재미있게 다가왔습니다. 보무당당하고 또렷한 목소리로 '우리는 정세에 합당한 연애를 하고 있다'고 말하는 두 여성의 존재가 유쾌했습니다.
누군가의 존재나, 어떤 이들의 관계가 합당하다거나 합당하지 못하다는 것은 어쩌면 시대가 개인에게 찍는 낙인과도 같습니다. 낙인의 내용이 다소 바뀌었더라도 그것은 100년쯤 지난 지금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진정 합당하지 못한 것은 이 낡아빠진 불합리일 것입니다. 불합리를 합당하다 말할 수 있을 만큼 불합리하지 않은 정세를 기대합니다.
스토리와 더불어 스토리를 뒷받침하는 맛깔나고 아름다운 문장들 속에서 세월을 넘어 함께 호흡하는 두 작가의 글들을 읽을 수 있어 즐거웠고, 두 작가 뿐만 아니라 독자인 저 자신도 그들과, 또 그들이 만들어낸 인물들과 이어질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