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도시 타코야키 - 김청귤 연작소설집
김청귤 지음 / 래빗홀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속된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의 높이가 상승하여 결국 모든 도시가 바다에 잠겼다. 바다에 잠기고 난 후의 세상은 어떨까? 김청귤 작가의 상상에서 비롯한 이 책은 6편의 연작 소설로 이루어진 판타지 소설이다. 모든 단편들이 바닷속 세상에서 살아남는 인간의 모습을 이야기 한다. 지금 우리의 모습과는 다르게 유전자 조작을 통해 바다 속에서도 숨을 쉬고 살 수 있는 인간들도 있고 여전히 바다 속에서는 숨을 쉴 수 없어 돔을 짓고 생활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경과들을 지나게 되어 바다에 적응하며 살게 되었다는 구체적인 내용은 없지만 판타지 소설 그 자제로 받아들이며 읽는데 불편함은 없었다. 바다에서의 삶. 작가가 상상하는 판타지에서도 역시나 이기적인 인간들은 존재한다. 지금과는 별 다를 게 없는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상황들도 끝없이 펼쳐지는데 안타깝고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글이 반짝이는 이유는 물에 잠겨버린 세상에서도 우리는 어쨋거나 살아야 하고 적응을 하며 버텨내야 하는데 결말 속에 낙관의 시선이 깃들어 있기 때문인 듯하다. 심완선 님의 해설에도 포함이 되었듯이 "미래가 지속된다는 상상은 물거품 같을지 몰라도 위안이 되"기 때문이다. 마냥 좋을 거라는 헛된 희망과 기대가 아닌 주인공들이 위기 속에서도 나누는 따뜻한 마음과 연대 행위, 멸망 속으로 다가가는 중일지라도 춤추고 사랑을 전하는 존재들의 마음이 책을 읽는 동안 눈부시게 다가온다.

그렇게 바다 속에서 지내야 하는 우리의 모습을 표현한 작가의 상상력에 서서히 스며들며 완전히 공감하게 되는 것이다. 과거나 지금이나, 아마 미래에서의 상황도 언제나 즐겁고 행복할 수만은 없다. 그 속에서 우리가 놓치지 않고 지켜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깊이 고민하게 한다.

기후 문제와 더불어 각박한 현대인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다가오면서도 왠지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동화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작가의 시선이 맑고 동화같기 때문 아닐까? 김청귤 작가의 글은 처음 접하는데 앞으로는 찾아 읽게 될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든다. 읽는 동안은 어두운 순간도 있고 비극이 펼쳐질까 두려운 순간도 잠시 있었지만 다 읽고 난 후의 마음은 평온하고 따뜻하기만 하다. 이렇게 눈부신 책을 4월의 첫 책으로 시작하게 되어 행복하다.

➰️➰️➰️➰️➰️➰️➰️

🔖70. 옛날 사람들은 물에 잠긴 식료품도 상하지 않게 할
수 있을 만큼 기술이 좋았다. 그런데 왜 세상이 바다로 변하는 건 막지 못했을까?

🔖90. 그래, 특별해. 생긴 건 비슷하지만, 우리만 물속에서 살아갈 수 있으니까. 그런데 특별하다는 건 인간의 기준에서는 보통이 아니라는 거고, 다르다는 뜻이기도 해.

🔖124. 저런 쓸모없는 것들이 세상에 너무 많아서 모든 땅이 물에 잠긴 걸 텐데.

🔖186. 종종 불합리, 불공정, 불평등 같은 단어가 떠올라 괴로웠고, 시원한 바람이나 태양, 꽃, 사랑, 대화, 체온, 책, 음악과 같은 것들이 못내 그리워 미칠 것 같았다. 아무 것도 몰랐으면 차라리 나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 적도 있었지만 그래도 무지하고 무감한 삶보다는 생각하고 사랑할 수 있는 상태가 좋았다.

🔖199. 그의 시선을 받는 내가 특별한 존재가된 것 같아, 진꾸만 가슴이 두근거리고 열이 나는 것 같았다.

🔖252. 판타지의 비-현실은 초-현실이고, 리얼리즘보다 폭넓은 모습으로 펼쳐지는 현실이다. 우리는 판타지에서 우리 자신을 발견한다.

#김청귤 #해저도시타코야키 #래빗홀 #인플루엔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