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이라는 계절
김의경 지음 / 책나물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의경 님의 책은 처음이다.
생활을 하며 글을 쓰고,
경험과 생활에서 주로 글감을 얻는 작가님답게
작가님의 일상이 담담한 글로 담겨 있다.
일상에서 쉽게 흘려 보내기 쉬운 사사로운 것들을
깊고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느껴진다.
무작정 위로를 건네는 에세이가 아니라서 더 좋았고
우여곡절이 매우 많은 삶을 보내신 것 같은데
글이 주는 무게나 감정에 우울함이 없고
그저 바라보고 있는 듯한 담담한 태도의 글이라서더 와닿았다.
지금 힘든 생활도 지나고 돌아보면 삶의 일부가 되듯
진부한 이야기라 할지라도
시간은 흐르고 삶은 계속된다는 이야기로
스스로를, 독자를 응원하는 느낌이다.

짤막한 글들로 생활이 소재가 되어
낯설지 않은 이야기들이 전개되어 읽는데 부담도 없다.
글 중 '시루떡 언니'가 마음을 많이 뭉클하게 했다.
모두가 힘든 그 시절에
인사도 서로 나누기 힘들었던 순간들이었지만
따뜻하고 말캉한 시루떡을 먼저 건네준 그 언니.
이름도 몰라서 작가에게는 그 언니가 '시루떡 언니'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우리 모두 외롭고 힘든 길 위에서도
아주 작지만 따뜻한 온기를 서로 필요로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 작은 온기의 나눔으로
잠깐의 힘이 되고 추억이 되는.
서로에게 어떤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온기를 나누려는 작은 마음을 품고 살아야겠다.

이 책은 모든 계절 중 지금 가을과 제일 많이 닮아있다.
덤덤하고 가끔은 시리지만
햇살은 따뜻하며 여전히 온기를 느낄 수 있다.
차갑지 않고 무겁지도 않지만
다양한 생활들의 색깔이 휘황찬란한 원색은 아닐지라도
채도가 조금 낮아도 다채롭게 펼쳐져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작가님의 '소설가 김의경'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계속 응원하게 될 것 같다.

➰️➰️➰️➰️➰️➰️➰️

🔖17. 인생은 살 만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벚꽃이 만개한 거리를 함께 걸을 사람이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77. 절대로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여름이 지금 이 순간에도 지나가고 있다고.

🔖112. 모두 더 이상 쓸모가 없어져버리기 전까지는 쓰레기가 아닌, 어떻게든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었다. 시의 의미도, 시를 읽는 즐거움도 모르는 사람에겐 시도 쓰레기에 불과할 것이다. 돌아오는 길에 결국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무언가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162. 기억은 변질되기 마련이니까. 회상한다는 것은 그 일들이 이젠 멀어졌다는 뜻이리라. 한편으로 회상한다는 것은 어떤 공간이, 시간이, 사람이 내게 사무쳤다는 뜻이다. 오래도록 잊고 있었던 기억들이 노래를 통해 되살아나 시간의 옷을 입고 재정의되기도 한다. 한 곡의 노래는 어쩌면 그 노래가 만들어지고 나서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완성되는지도 모른다. 그 노래를 들으며 한 시절을 보낸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 노래를 흥얼거리던 때를 회상하게 되는 그때에서야 비로소.

🔖172. 축 처진 마음은 남 탓이라도 마음을 말리는 건 내 몫이죠. 빨래는 셀프니까요. 뽀송뽀송한 마음 오래 간직하시길요.

🔖175. 지금은 흑백영화의 한 장면처럼 흐릿하지만, 급속도로 휘몰아치며 발목을 잡던 절망의 구렁텅이도 결국엔 삶이라는 흙으로 평평해지지 않았느냐고. 삶은 계속될 것이므로.

#김의경 #생활이라는계절 #책나물
#에세이 #에세이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