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의 인간관계 - 부자가 만나는 사람, 만나지 않는 사람
스가와라 게이 지음, 정지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다. 나는 부자가 되고 싶다! 껄껄
게다가 인간관계에 대한 쉬어가는 타이밍도 필요하던 찰나
좋은 책을 만나 읽어보게 되었다.
사실 거창하게 부자가 되는 방법 같은 이야기는 없다.
책의 전반에 관해
인간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으며 꽤나 공감간다.
물론 책에서 제시하는 대로만 한다면
무조건 부자가 될 것이다!는 아니더라도
좀더 좋은 사람들과 관계를 하며 스트레스를 주는 관계를
적당히 정리할 수 있다면
지금보다 훨씬 삶이 풍요로울 것이고 그로인해 운명이 조금은 달라질 수도 있는 법!

사람들과 관계 나누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며
미처 인식하지 못한 작은 변화들만으로도
그 사소했던 선택의 순간들이 나중에 어떤 결과로 발휘될지는 모르는 일이니까.

책을 쓴 사람은 스가와라 게이는 프리랜서 편집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로
부와 성공을 거머쥔 사람들과 가까이에서 지내면서
그들의 인간관계에 집중하게 되고
'부를 가져다주는' 인간관계의 비법을 탐구하고 분석하여
이 책에 눌러 담았다.
이왕이면 곁에 두어야 될 사람과
어지간하면 거리를 두고 피해야 할 사람.
큰 챕터 7가지로 글을 나누었고
그안에서 또 세세하고 친절하고 알기 쉽게 설명을 한다.

1. 인간관계야말로 성공과 행복의 열쇠다
: 사람이 일상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의 50%이상이 관계 때문이라고 한다. 좋은 관계를 맺고 나와 맞는 사람과 맞지 않는 사람을 파악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겠다.

2. 부자들은 특별한 눈을 가졌다.
: 일상에서 배어나오는 사소한 태도나 소통하는 자세만 보아도 상대의 인격을 어느정도는 알 수 있는 법이다. 진심을 항상 표현하고 말의 기술도 익힐 필요가 있다.

3.부자들의 시간은 빠르게 흐른다
: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자산은 시간. 눈에 보이지 않고 만져지는 것도 아니라 쉽게 생각하게 되는 시간의 중요성은 일일이 말하기도 입 아픈 법. 이 책에서는 지각은 범죄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한다. 새겨 듣기.

4. 부자들은 스펙을 보지 않는다.
: 스펙이라는 결과만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게 사실 제일 쉬운 방법이다. 그나마 객관적인 판단 기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부자들은 남다른 기준점을 둔다. 그 역시 앞에서 이야기하는 관계라는 틀 안에서의 일상적 태도나 소통 방식, 도전 정신등을 꼽는다.

5. 부자들은 돈을 접어두지 않는다.
: 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늘 고민하고 써야할 때와 쓰지 말아야 할 때를 명확히 파악한다. 이 챕터에서 '가성비와 싸구려를 구분할 줄 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언뜻 혼동하기 쉽지만 싸구려를 싸게 산 것은 가성비가 좋은 게 아니라는 말에 조금 놀랐다. 싸게 샀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라 필요 없는 충동구매는 결국 손해일 뿐이라는 점⭐️을 반드시 명심해야겠다.

6. 부자들은 적당한 거리를 둔다
: 관계 속에서도 상황과 감정에 끌려다니지 않고 자를 건 잘라야 할 때가 있는 법이다. 부부와 가족 사이에도 온전한 나만의 거리가 필요한 법인데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두말할 것도 없다. 적당한 거리를 지키자.

7. 부자들은 혼자만의 시간을 즐긴다.
: 혼자여도 외롭지 않다. 결국 모든 관계의 시작은 나 자신으로부터! 잘 먹고 운동을 하며 건강을 챙기고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을 추구하자. 나로서의 버팀목을 든든하게 세울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지.


결국 책은 소통과 관계를 이야기하고
피해야 할 사람과 만나야 할 사람을 알려주는 지침서인 동시에
나 스스로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
내가 어떤 방식으로 삶을 살아야 도움이 되는지를 언뜻 알려준다.
남을 바꿀 수는 없고 나 자신은 변해갈 수 있으니까.


+12. '밀접'이 주는 위험은 인간관계에서도 얼마든지 존재한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사람을 사귀는 것은 공적인 자리뿐만 아니라 사적인 자리에서도 새로운 행동 규범이 될 것이다.

+32.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처럼 사소한 계기로 만나 인간관계를 맺게 되는 것도 사실은 깊은 인연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인간관계라는 것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인간관계는 매우 섬세한 것이어서 조금이라도 부주의했다가는 어이없이 깨지기도 한다. 그래서 중요한 인간관계는 필사적으로 소중히 지켜야 한다. 과한 말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나는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한다.

+55. 사람의 평가는 이런 사소한 일들이 쌓여서 정해진다.

+57. 능숙하게 대화하려면 자신이 듣고 말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어야 할까? 5 대 5일까? 아니면 3 대 7 정도일까? 둘 다 정답은 아니다. 무려 듣기가 90%, 말하기가 10%다. 대부분 상대가 말하게 하는 것이 능숙한 대화법이라는 뜻이다.
대다수는 이보다 두세 배 많이 이야기한다. 내일부터는 말하고 싶은 기분을 꾹 억누르고 듣는 데에 좀 더 무게를 두자. 실제로 이 정도 비율로 대화해야 상대방은 듣고 말하는 비율을 5 대 5 정도로 인식한다고 한다. 사람의 심리는 그만큼 자기중심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103. 누구나 처음부터 지각하겠다는 마음을 갖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지각을 하게 된다면 자신으로 인해 거북해진 분위기를 보며 이후로는 더욱 조심하게 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을 반복하는 사람은 자기 관리가 안 된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116. 휴대전화의 무제한 통화 요금제나 인터넷 접속만 된다면
돈이 들지 않는 모바일 메신저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무심코 시작한 대화가 속절없이 길어지는 일이 종종 생긴다. 물론 긴 통화를 했더라도 '아, 오랜만에 이런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즐거웠어'라고 생각된다면 그 시간은 가치 있는 시간이다. 그러나 '뜻하지 않게 시간이 흘러 갔네'라고 후회가 밀러온다면 시간 도둑에게 내 시간을 빼앗겼다고 맹렬히 반성하는 편이 났다.

+169. 이상적인 인간관계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주고받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한쪽은 받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주기만 한다면 균형이 맞지 않는다. 주고받는다는것은 물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