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아들, 조선시대 왕위 계승사 - 권력은 부자간에도 나눌 수 없다
한명기.신병주.강문식 지음 / 책과함께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것이 아비와 자식 사이일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권력이나 금전이 개입하면 그 긴밀한 관계가 틀어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구중궁궐 깊숙한 곳에서 펼쳐지는 최고 권력자 '왕'과 그의 후계자인 세자 사이에서 펼쳐지는 갈등과 불협화음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래서인지 이런 이야기들은 지금껏 영화나 드라마에 소재로 자주 사용되었다. 이성계의 조선 개국과정을 그렸던 대하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아버지 못지않은 야심가였던 이방원과 태조 이성계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가 잘 묘사됐었고, 몇 해 전에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이산'에서는 뒤주 속에 갇혀 죽임을 당했던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참담함이 잘 나타나 있다.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한 강문식, 한명기, 신병주가 함께 쓴 '왕과 아들'이란 책에는 조선왕조를 통틀어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심각한 갈등을 일으켰던 문제적 아버지와 문제적 아들 이야기를 싣고 있다. 조선왕조를 연 태조 이성계와 그가 가장 신뢰했던 다섯째 아들 방원을 시작으로 태종과 양녕, 선조와 광해군, 인조와 소현세자, 영조와 사도세자가 바로 그들이다.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인물과 이야기들이지만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과는 다른 이면을 들여다 보는 재미가 있다. 특히 그들이 그러한 비극을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시대 상황과 정치적 지형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비가 자식을 버린다는 것은 지극히 비상식적인 일이지만 본능적인 부모의 사랑마저 무기력하게 만드는 절대 권력의 비정함은 소름돋는 일이기도 하다.

태종과 양녕의 사례는 그 중에서도 특별하다. 두번에 걸친 왕자의 난을 거쳐 정적들을 제거하고 아버지의 뜻을 거슬러 왕위에 올랐던 태종으로선 적자이면서 장자였던 양녕에 대한 기대가 유달랐다. 당연한 이유로 그는 계속되는 양녕의 실수에도 관용을 베풀었지만 결국 왕위는 장자가 아닌 셋째 아들 충녕으로 이어지게 됐고, 결국 그가 5,000년 민족사를 통틀어 으뜸되는 성군으로 칭송받는 세종대왕이라는 사실은 역사의 또다른 아이러니라 할 수 있겠다.

지금껏 알려진 바와 같이 맏이였던 양녕이 동생 충녕의 왕재(王材)를 일찌기 알아보고 그에게 왕위를 양보하기 위해 일부러 기행을 일삼았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닌 듯 하다.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적 기록에서도 양녕과 충녕 사이가 그다지 원만하지 못했고 양녕이 동생 충녕을 탐탁치 않게 여겼다는 대목도 등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양녕에게 정치적 야망이 없었다는 추론 또한 그가 이후 세조의 왕위 찬탈 과정에서 단종의 사사를 주도했던 사실로 미루어볼 때 신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 모든 것이 권력이라는 절대적 힘 앞에서 벌어진 일이다. 앞서 언급됐던 다섯 명의 왕과 아들이 처음부터 사이가 나빴던 것은 결코 아니다. 왕들은 공통적으로 세자들에게 큰 기대와 깊은 신뢰를 가졌었지만 불가항력적인 상황 속에서 결국 비극이 잉태되었다고 보는 것이 좀더 진실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한 과정의 뒷편에서 절대권력을 놓고 펼쳐진 정치세력들간의 치열한 암투는 무서울 정도다. 자신이 속한 당파의 이익을 위해, 자신과 가문의 안위와 부귀영화를 위해 권모술수를 마다 않았던 그들에게서 수백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정치권의  모습이 오버랩 되는 것 같아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