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의 이동 - 지금까지 세상에 없던 성공의 방식
데이비드 버커스 지음, 장진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혁신 은 기업에서 너무 많이 사용하여 의미가 희석된 대표적인 단어다. 실패를 두려워하고 책임 추궁을 걱정해야 하는 조직에서는 혁신이 일어날 수 없다. 혁신하는 척만 하는 것이다.(경험상 ‘~혁신팀‘이 있는 회사는 더더욱 ‘혁신‘이 안되고 있는 것 같다.) 재택근무가 일상이 된 비대면 시대엔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 방식에 대해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새로운 제도를 전면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걱정된다면, 소규모 조직부터 파일럿으로 시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개인이나 기업이나 극단적 위기에 봉착한 경우가 아니라면 왠만해서는 아무리 좋은 성공방법이라도 도입하지 않는다. 나중에 진정한 위기가 왔을 때 허겁지겁 돌파구를 찾겠지만 때는 늦게 된다. 미래를 위한 변화는 여유있고 잘나갈 때 해야 한다. 입으로는 4차 산업혁명을 외치면서 실제로는 100년도 더 지난 테일러리즘을 실행하는 모순은 언제쯤 벗어날 수 있을까?

책에 소개된 13가지 인력 관련 정책은 대부분 무언가를 #제거 하는 것이다. 챕터 제목만 봐도 ‘과연 이게 가능한 일일까?‘라고 생각되지만 현재 유수의 글로벌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시행중이다. 벌써부터 이런 목소리가 들려온다. ˝그건 그 회사니까 가능했던거야. 우리 회사에 적용하면 직원들은 다 놀고, 업무는 정체되고, 생산성은 바닥을 치게 될거야. 우리(나라) 회사에는 적용 불가능해.˝ 진정 이런 직원들로 회사가 구성되어 있다면, 이처럼 신뢰할 수 없는 직원을 왜 채용했는지 묻고 싶어진다. 챕터 제목은 다음과 같다. 20년 이상의 직장 생활 경험상 7번 항목은 확실히 동의한다. 특히 S~D 평가의 무용성은 더욱 더.

1.이메일을 금지하라, 2.고객을 2순위로 두어라, 3.휴가 정책을 버려라, 4.직원이 떠나게 돈을 지불하라, 5.급여를 공개하라, 6.경쟁금지 조항을 없애라, 7.실적 평가를 폐기하라, 8.직원 채용은 팀에 맡겨라, 9.조직도는 연필로 그려라, 10.개방형 사무실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라, 11.안식휴가를 취하라, 12.관리자들을 해고하라, 13.떠나간 직원을 연결하라.


📖 ˝위대한 경영자들은 제품을 혁신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공장을 혁신합니다.˝ 여기서 ‘공장‘이란 업무가 처리되는 모든 곳을 의미한다. 이는 경영자들이 제품과 전략보다 업무 환경을 혁신하는 일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래야만 직원들이 최고의 업무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 ˝완벽이란 더는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는 없앨 것이 없을 때 이뤄진다.˝ #생텍쥐페리

📖 개인 성과의 대부분 또는 적어도 상당 부분은 개인 자신보다는 그가 속한 팀이나 조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개인의 업무 능력이나 성과를 팀의 업무 능력이나 성과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다. 또한 각 개인에게 최대의 업무 능력을 끌어내고자 한다면, 그들을 각자 독자적 개인이 아닌 팀의 구성원으로서 대하라는 것이다.


#경영의_이동 #데이비드_버커스 #장진원 #한국경제신문 #지금까지세상에없던성공의방식 #신뢰 #무임승차 #그릇된_영웅_증후군 #동료평가미팅 #자기결정성이론 #경영학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머리쓰기 #글쓰기 #최동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