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um wir von Personen sprechen

왜 우리는 인격들에 대해 말하는가 - P15

‘인격(Person)‘이라는 말의 의미는 다른 말과는 달리 
유난히 문맥에 따라 좌우된다. 대개의 경우 인격들이라는 
말은 인간들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우리는 오늘 저녁에 
여덟 명 [=인격]과 식사를 하게 된다."라고말할 수 있다. 
이 문장에서 "명"이라고 나타낸 "인격" 은 결코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여덟 사람(Menschen)을 기다린다."고 하는 표현이 좀 더 신중하게 선택하고 
더 격조 높은 것으로 들린다. 반면에 "여덟 명 [Personen]"은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요소가 좀 덜 개입되어서, 단순히 
수를 세는 방식으로 들린다. 말하자면 단순히 수적인 
측면을 언급할 때, 우리는 인격들에 대해서 말하게 된다. 
예컨대, "여객 열차(Personenzügen)" 라고 하지 않고 
"인간 열차 (Menschenzügen)" 라고 말한다면, 이는 
그 가치를 무시하기보다 불필요하게 부풀린 것처럼 보인다.
또 우리가 "이 인격"이라고 말한다면 이는 오히려 비인격적으로 느껴진다. 굳이 공적인 대화방식이 아니라면, 이렇게 
부르는 것은 부정적으로 들릴 것이다. - P15

하지만 이와 다른 맥락에서는 정확히 정반대로 적용된다.
 ‘인격‘ 이라는 용어가 술어로 쓰일 때, 곧 구체적으로 
명시된 어떤 주체가 인격이라고 말할 때 그러하다. 
최근에 ‘인간의 권리‘ 라는 말을 인격의 권리‘로 대체하려는 새로운 제안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인격이 특정한 성질을 
통해 구분되어 표시되는 그러한 사람들에게만 해당된다는 언어사용법이다. 

반면에 모든 인간들이 인격들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인격‘을 ‘존엄성의 이름‘으로도 사용한다. 누군가를 
인명부에서 볼 수 있는이름 정도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그에게 명시적인 ‘인격 존재‘ 를 귀속시키는 것은 그와 
특별한 방식으로 교제하기를 원하는 어떤 사람으로 그를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P16

우리는 전혀 다른 의미로 고풍스럽게 이용하는 용례를 
연극 티켓에서 발견한다. 이 티켓에 인쇄된 페르조넨
(Personen)‘은 인격들, 곧 사람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배우 자신과 구별되는 배역일 뿐이다. 바오로 사도가
 "하느님은 역할(Person)을 차별하지 않으십니다." 고 
말했을때 이와 거의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 
하느님이 보시는 대상이 무엇인지 되묻는다면, 그분이 
보시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인격들‘ 이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답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인격 
의미의완벽을 기하기 위해서, 1인칭, 2인칭, 3인칭‘ 이라는 문법적 표현 역시도 숙고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법적 
표현은 오늘날 인격 개념에 비하면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 P16

아래에서는 먼저 ‘인격‘ 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여기서는 인격이라는 용어가 문장에서 
술어로 사용될 때, 곧 "이리저러한 존재가 ‘인격‘ 이다." 
라고 말할 때 의미하는 인격에 관련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단순히 수적인 것과 동일한 것으로 
여김으로써 ‘비인격적으로‘ 사용할 가능성도 야기된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