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과 고난이 나에게 다가오지만 그것이 나를 조금식 이라도 변화를 줄 원동력이 된다. 그것이 위버멘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위버멘쉬(Übermensch)'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만든 개념이다.

위버멘쉬의 어원이 '넘어선(über) + 사람(mensch)'이라고 하여 흔히 '초인(超人)'이라고 번역되지만, 그 원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제대로 담고 있지 못하다고 하여 요즘은 독일어 독음 그대로 위버멘쉬라고 번역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번역은 뒤로 미루고 그 의미를 제대로 들여다 보자.

저자도 그런 의미로 위버멘쉬의 의미에 대해 표지를 넘기자마자 바로 그 의미를 담아내고 있다.

이번에 어나니머스가 옮긴 『위버멘쉬』는 니체가 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책을 기반으로, 이 '위버멘쉬'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인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실천적인 조언을 추가하여 단순 번역이 아닌 새로운 글로 구성을 하였다고 한다. 이런 구성은 차례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원전이 가지고 있는 난해함을 현대인의 시각으로 풀어쓴 흔적을 바로 알 수 있다. 그래서 본문의 내용을 순서대로 읽어갈 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처한 현재의 상황에 대해 조언을 얻기 위해 관심이 가는 곳을 먼저 찾아가는 것도 이 책을 읽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잊지마라. 나를 다듬는 작은 움직임이, 결국 세상까지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p68)

이 글은, Part 1의 자기 극복과 성장에 관한 43가지 삶의 태도에서 24번째로 소개한 '마음의 중심을 잡는 법'의 마지막 글이다. 차례를 보면서 이 제목이 왜 나에게 다가왔을까? 무언가를 결정하기도 전에 새로운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 다가오고 그리고 그 결정 또한 때에 따른 다른 결정을 내려야 할때가 생긴다. 이유가 뭘까? 결정을 내릴 내 마음의 중심을 잡지 못해서일까? 하지만, 이런 고민조차 '마음의 중심을 잡는 법'이란 태도의 글을 읽기 전까지는 고민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저 무의식적으로 마음에 담긴 내 고민이 이 글을 찾아내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래서 위버맨쉬에서는 이런 질문이 자신을 지치게 하지만 이 또한 자신을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다고 한다. 중요한건 멈추지 않고 조금씩 다듬어 가는게 중요하다라고 한다. 그리고 더욱 마음에 와 닿는 건 '완벽한 목표 없이 살아가도 괜찮다.'라고 전하는 글이다. 비록 늘 목표없이 나아가는 삶으로 인해 불안을 안고 살지만 그 불안을 조금씩 가다듬고 나아가다 보면 세상까지 부꿀 수 있는 힘이 생겨날 것이라 한다.

'세상을 조금 더 여유롭게 보자. 지금 완벽하지 않다고 해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건 아니다.'(p121)

그리고 나에게 다고온 새로운 제목은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을 마주할 때'이다.

이 제목은 Part 2의 인간관계와 감정 조절에 관한 31가지 방법에서 다섯 번째로 소개된 글이다.

아마 최근에 내가 겪은 상황 때문에 이 글에 관심이 생긴 것 같다.

아직 무엇으로도 이해할 수는 없지만, 아직 배워가는 중인 사람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라는 질문에 나 또한 배워가는 중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이 글의 마지막 글처럼 영원히 변하지 않는 건 아니건 아니기 때문에.

위버멘쉬.

'지금의 나'를 넘어서는 최고의 자신을 꿈꾸는 존재.

어쩌면 최고의 자신을 이루지 못할지라도 '계속 성장하고 변화하는 존재'는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지금의 나를 만족하지 말고 더 나은 자신을 위해 나아간다면 말이다.

그런 내가 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고난이 다가올 것이다. 그때 위버멘쉬의 글들을 보면 많은 힘이 되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장인용 지음 / 그래도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가 누군가가 어떤 단어의 어원에 대해 얘기를 하면 없던 관심이 쑤욱하고 생기는 이유가 뭘까? 그건 바로 그 단어가 가진 숨겨진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단어들이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뒤에 역사나 문화적 배경, 때로는 예상치 못한 이야기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그 단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가 "사실 이 단어는 ~"

이라고 운을 띄우며 그 어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되면 귀를 쫑긋 세우고 듣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이 책에도 눈이 가게 되는 것 같다.

'세상 모든 것에는 시작이 있다.'라는 저자의 서문을 시작으로 저자가 들려주는 단어의 어원을 들어보자.

경제와 경세제민

가물가물 하지만 예전 중학교 시험에 나온 것 같은 기억이 난다. 그 때는 별 생각없이 암기만 했던 때라, 저자가 단어의 어원으로 처음 언급하기 전까지는 경제(經濟)라는 단어의 한자를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보통 한자어라면 그 의미를 담고 있어야 하는데, 전혀 어울리지 않은 단어이며 본래의 단어인 경세제민(經世濟民) 조차도 뜻만으로는 지금이 경제라는 단어를 유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생각한다. 다만 '세상을 올바르게 해서(經世) 백성을 구하다(濟民)'라는 의미로 지금이 경제가 가지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경제라는 의미와 연관되어 진걸까?

그 시작은 일본 학자들의 서양의 'Economy'라는 단어를 경제로 번역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몇 년전 세간에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이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 '매우 깊게'라는 뜻의 심심(深)을 '지루하고 재미없다'라는 뜻의 심심하다라는 뜻으로 생각하니 '심심한 사과'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 때문에 당시 문해력 논란이 생겼던 것 같다. 한자 교육이 사라지고 일상에서 사용이 줄어듬에 따라 발생한 일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그 의미에 오해가 있을 수 있더라도 전체 문맥상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저자의 의견에 동의하면서 이러한 현상은 언어 사용의 차이와 교육 환경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고 그 간극을 줄여야 하는게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그 방법 중 하나가 이 책처럼 단어의 어원을 독자들에게 알려주는것도 여러 세대들에게 꽤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앞서 언급한 경제처럼 단어의 어원에 대해 '뜻이 바뀌어 새로이 쓰이는 말'이나 풍비박산처럼 '뜻이 역전되는 말', 야단법석이 종교에서 유래하였다고 하여 궁금해지는 '종교에서 유래한 말' 등 다양한 주제로 단어의 어원에 대해 전해주고 있으며 그리고 그 단어가 어떻게 변천되고 적응해 가는지를 알게되면서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가 좀 더 풍성해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누군가가 "사실 이 단어는 ~"이라고 애기하는 것에 귀를 쫑긋 세우고 듣게 되는 것 같습니다.

책 표지에 담긴 글처럼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장인용 지음 / 그래도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가진 단어가 전해주는 풍성함을 느끼게 해주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재의 모든 것을
시오타 타케시 지음, 이현주 옮김 / 리드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무엇을 해야하는지 고민을 하게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