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없어? - 유쾌한 탐식가의 종횡무진 음식 인문학
고이즈미 다케오 지음, 박현석 옮김 / 사과나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어떤 의미를 가진 제목일까.
표지글에 '유쾌한 탐식가의 종횡무진 음식인문학'이라고 적혀있다.
여러 음식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담은 책일까요?
그런데 표지 하단에 '세상의 모든 맛없는 것들에 대한 푸념'이라고 적혀 있네요.
푸념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걸 보니 맛없는 음식들에 대한 불평을 늘어놓은 책인 모양입니다.
머리말에 맛없는 음식이 존재함으로써 맛있는 음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이유로 맛없는 음식을 찾아 '맛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목적으로 책을 썻다고 하니 저자가 말하려는 맛에 대한 의미를 찾아 가 봅니다.


1장 세상의 모든 맛없는 음식을 시작으로, 2장 여행자를 위한 식사, 3장 날아라! 미각인 미행물체그리고 마지막 4장 요리하는 마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목포 홍어회에 대한 내용과 TV에서 가끔 소개되는 스웨덴의 악취가 나는 음식인 '수르스트뢰밍'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이 둘은 사람마다 호불호에 대한 차이가 있어 맛없는 음식이라기 보다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판단을 내려야 할 음식이라 생각된다. 아마 거의 대부분 맛없는 음식이라고 생각할 것 같다. 이 외에 세계 여러지역에서 맛 본 뱀이나 곤충 까마기 요리 등에 대한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 하고 있다.


1장에서 저자가 말하려는 맛의 의미는  뭘까요.
맛에 대한 의미를 보니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맛있다'와 '맛없다'에 대한 구분은 오로지 개인의 결정에 의한 구분일꺼라 생각하며 세상의 맛없는 음식이라도 '자신의 맛을 보기 전에는 맛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장은 제목은 '여행자를 위한 식사'이다.

1장에서 소개한 음식이 좀 이상한 음식들이라면 2장은 여행지에서 만난 대중적인 음식들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 한다.
관광지 주변 음식점이나 숙박 업소의 음식들 그리고 도시락 등 여행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음식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그가 찾은 '맛없음'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3장과 4장에서 만난 음식들에서 저자가 말하려는 의미는 무엇이며 그가 머리말에서 밝힌 '맛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예전에는 질 보다 양을 찾았다.
먹는다는 것에 대해 맛을 찾기 보다는 배를 채워야 겠다는 생각이 앞섰던 때였다. 그런데 지금은 양보다는 질을 택하려 한다.

적게 먹더라도 맛있는 것을 맛 보고 싶은 욕심이 많다.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 보다.


저자의 글을 보고 나니 세상에 맛없는 음식들에 대한 호기심은 날아가 버렸다.
아직 맛있다고 하는 음식들도 제대로 맛보지 못했는데, 굳이 맛없는 음식들까지 찾아가며 맛 보고 싶은 생각이 없어서다.
이 책을 보면서 '맛이란 뭘까요?'에 대한 생각을 할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오늘 저녁에는 어떤 맛을 볼 수 있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