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학교에서 배운 101가지
존 쿠프레나스 & 매튜 프레더릭 지음, 김소진 옮김 / 글램북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고등학교시절 이과를 선택하고 대학도 공학계열 전공으로 졸업한 후, 지금껏 그때 배운 지식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어, 책에 대한 거부감은 들지 않고 예전 생각을 더듬어 보는 정도로 책을 보게 되었다.

기본에 충실하라.
사회생활이라든지, 난관에 부딪쳤을 때라든지, 살면서 여러 경우에 걸쳐 많이 들은 말이다.
이 책도 '기본에 충실하라'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라 본다.
거의 모든 내용이 전공이 공학 계열인 분들에게는 한번씩 들어본 내용이거나, 혹 듣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이제 공학도에 한 발을 들여놓으려 하는 분들에게는 공학에

대한 기본 이해를 폭 넓게 가지게 하는 책이 되리라 생각되고, 이미 전문 분야에 들어서 활동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기본을 다시 들여다 보게 함으로써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어줄 책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저자 또한 서문에 이렇게 밝히고 있다.

 

공학 학교에서 배운 101가지.
1가지의 섹션마다 저자가 전하려는 기본 개념과 삽화로 이우러져 있다.
공학의 기본 개념과 시작에 대한 이야기부터 물리나 재료, 환경 등과 공학자로써의 자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개념들에 대한 설명을 이어 나가고 있는데, 보통 공학은 어렵다는 통상의

개념을 벋어나게 끔 해주는 책이다.

공학과 관련이 없는 분들도 상식의 수준을 넓히기 위한 목적으로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전체보다 일부분을 해결해야 할 때 더욱 조심해야 한다'라는 섹션을 보면 '어떤 기능이나

부품이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할 경우, 실제 적용 단계에서 사용자의 변수에 의해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여러 기능의 제품보다, 문제를 해결하는데만 초점을

맞춘 부품을 쓰는 때가 더 나을 때가 있다'는 내용으로 설명되는 부분인데, 비록 이 내용은

공학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의 일상 생활이나 다른 분야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만한 내

용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이 내용처럼 공학에 관련되어 이야기 하지만 다른 부분으로 생각할 꺼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의 마지막 101번째의 이야기를 들여다 본다.
[위대한 연속체]라는 주제로 공학의 기능은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궁금증을 연결해주는 연속체

역활을 맡고 있다라고 하며,

이 연속체적 기능을 이해한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빠르게 적응해 나갈 수 있으며,
연속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야 말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나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일이다.라고

맺음을 하고 있다.

이 마지막 내용을 여러번 읽어보았다.
길게 설명되어진 내용이 아니라 정확한 뜻은 아직도 잘 모르겠다.
일상 생활에서 인간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하나로 끝맺음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개선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의미로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