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의 작업 노트 - 데이비드 두쉬민의 창작을 위한 조언 사진가의 작업 노트 1
데이비드 두쉬민 지음, 홍성희 옮김 / 정보문화사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사진찍는게 멋있어 보이기도 하고, 나중에 나이가 좀 들면 이리저리 다니면서 취미로 하면

괜찮을 것 같아, 큰 맘먹고 좋은 카메라도 사서 틈 나는대로 찍어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우고 하는게 아니라 뭐가 뭔지도 모르겠고, 시간도 여의치 않아 배우러 다닐 수도 없어

책만 보고 있는데, 이해도 잘 안되고 생각처럼 늘지도 않더군요.


특히 사진을 보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책에서는 좋은 사진을 찍기위해 구도를 어떻게 하고 빛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등 여러

설명을 하며 좋은 사진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그 사진이 왜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사진도 분명 예술 작품이니 마음에서 우러나는 어떤 감정이라는게 있을텐데 그걸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가끔 그림이나 서예 작품들을 보다보면 마음속에 어떤 느낌을 받는 걸 봐서는 사진에서도

느낌이라는걸 받아야 하는데...,

아직 그 느낌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실력이 늘지가 않는 모양입니다.


고민입니다.

이 책에서 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들여다 봅니다.


사진가의 작업노트
어떤 사진이 담겨 있는지 책장을 넘기며 한장 한장 감상 해 봅니다.
역시나 아직 사진으로부터 어떤 느낌도 느낄 수 없네요.
저자는 이런 나에게 어떤 가르침을 줄까요.
이 책은 베니스, 아이슬란드, 케냐, 남극 이렇게 4개의 part로, 각 part별로 30여장의 사진과

사진을 찍고 프린트하는 과정까지의 이야기와 사진을 통해 작가가 이야기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내가 본 책들은 작가의 마음을 담는다기 보다는, 통상의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한 기교와

관련된 책들에 치중되어 있었는데, 이 책은 오로지 작가의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의미로

사진을 찍었으며 자신의 의도에 맞게 편집하고 수정해 가는 과정을 설명해 주는 책이라 이전

책들에서는 느끼지 못한, 사진이 이런거구나 하는 걸 느껴봤습니다.


저자는 자신의 사진을 설명하면서, 자신의 사진 속에서 표현하려는 의도가 뭔지에 대해 그리고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자신을 모방하지 말라고 하죠. 자신만의 창작을 하라고 합니다.


아직도 어떤 사진이 좋은지 볼 줄 모릅니다.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사진을 찍어야 겠다는 방향을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나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나는 어떤 사진을 찍고 싶은가? 그리고 그 사진으로부터 전달하고 싶은 나의 마음은 뭔가?'
지금부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봅니다.
만약 내가 필름카메라 시절에 사진을 취미로 했더라면 매번 샷을 누를때마다 생각을 했으리라

여겨집니다.

지금은 문명의 이기(디지털 카메라)로 인해 일단 찍고 보자는 생각이 우선이라 아무 생각없이

찍으니 발전이 없을 수 밖에요.

이제는 매번 필름카메라라는 생각으로 정성을 다해 생각하면서 찍어봐야겠습니다.
그러다 보면 사진에서 뭔가 느끼게 될 날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은 이 책의 사진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는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