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두에서 자신을 오토포비아가 좋다가 말하지만 "이게 병이에요? 고칠 수 있어요?"라고 아빠에게 질문을 하는 니콜.
이런 질문을 던진 니콜 스스로도 자신이 가진 이 생각이 옳지 않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고 있었으리라 여겨진다. 하지만 아빠가 전한 집단의 힘을 믿는다라는 말에 스스로를 오토포비아의 굴레에 빠지게되고 모니카 또한 엄마의 방관속에 안트로포비아에 안주하게 되고 그것이 자신의 숙명인냥 삶을 살아가게 된다. 평범하지 않은 극에 치달은 삶이 과연 인간으로써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작가가 풀어가는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지고 마지막 즈음에 주인공들의 삶을 어떻게 마무리할지 모르겠지만 우리에게 그 삶이 어떤 삶인지 많은 생각을 던져주게 될 것 같다.
단체의 힘을 믿는 니콜과 개인의 힘을 믿는 모니카.
이 둘은 학창시절 자신의 성격을 극명하게 규정 짖는 일화를 시작으로 어른들이 전하는 강요와 방관속에 스스로를 하나의 틀만을 완성해 나가는 길에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틀과는 전혀 다른 성향을 체스 게임에서 마주치게 되는데, 우려와 다르게 첫인상은 서로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것 같다. 하지만 이런 만남도 오래지 않아 큰 사건이 이들에게 닥치는데, 처음으로 마주하게 된 둘 사이의 체스 게임이 극한까지 치닫게 되고 게임에서 진 모니카가 니키의 목을 조르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게임에서 자신의 숨통을 조이듯이 다가오는 니키의 플레이에 대응하기 위해 되갚아 주기위해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사건은 겉으로는 별다른 문제가 없이 마무리되는 듯 했다.
그리고 그 사건이 벌어진 탓일까 세상을 바라보는 니콜과 모니카이 시선은 자리를 잡은 것 같다.
니콜은 세상을 무너뜨릴 결심을 하고 모니카는 역사의 흐름을 바꿀거라고 결심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