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의 그림들 - 나의 생명이 그림으로 연결되어 어느 날 당신과 만날 것이다 주용의 고궁 시리즈 2
주용 지음, 신정현 옮김, 정병모 감수 / 나무발전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하다.

<자금성의 그림들>이라는 이 책의 제목을 보면서 중국의 회화 작품들에 대해 곰곰히 생객해 보았다. 그런데 뭔가 어렵풋이 떠오르긴 하지만, 뭐 하나 뚜렸하게 생각나는 작품이 하나도 없다. 회화에 관심은 없지만 서양의 회화 작품들에 대해서는 그럭저럭 화가와 작품명 정도는 상식으로 알고 있는데, 정말 중국의 회화 작품에 대해 기억나는게 하나도 없다.

'나는 왜 중국의 회화 작품에 대해 기억나는게 없지?'라는 의문에 이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중국의 회화 작품들에 대한 상식을 조금이나마 넓혀보자는 욕심에 들여다보기 시작하였는데, 상식을 넘어선 뭔가 깊이있는 지식의 세계로 들어갈 것 같은 분위기가 느껴진다.

"그림의 신비감은 시간이 그림에 부여한 부가가치다.

그림은 시간속에서 성장한다. 그림은 가치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완성된다.

그림은 책상머리에서 단번에 그려지지 않는다. 한 세대 한 세대 사람들의 주시와 애무와 평가와 해석을 받으며 조금씩 완성된다.

명작이 완성되는 데 백 년, 천 년이 걸린다. 명작은 한 명의 천재가 그리는 것이 아니라 문명의 체계속에서 만들어진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림을 대하는 우리들의 시선이 변하였던건 이해를 하였지만, 명작은 그림을 그린 화가 혼자만의 아닌 우리들의 만들어가는 문명의 힘에 의해 탄생되어진다는 서론의 글에서 본문의 담긴 저자의 글에 더욱 관심이 갑니다.

낙신부도.

화가의 이름을 알 수 있는 중국 최초의 그림이라고 합니다.

한 폭에 담긴 그림이 아니라 두루마리 형태로 되어 있어 '탁자위에 두고 말면서 보는 것'이라고 하며 북송 시대에 유행하였다고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거니 했는데, 두루마리 형태의 방식이 유행한 배경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중국인들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은 수평이고 옆으로 펼쳐진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시각이 인간의 정이 가득찬 시각이라는 시대상까지 있었던 상황이라 회화 또한 이런 시대상이 반영되어 수평으로 발전하게 되어 두루마리 형태의 작품이 탄생되었다고 하며, 이런 수평적인 시대상이 화가의 시선을 거쳐 손의 도움으로 두루마리에 작품이 담겨지는 과정에서 한폭에 담겨지는 서양이 작품과는 다른 두루마리로 이어지는 무한의(?) 공간에 작품이 담겨짐에 따라 시간이라는 개념이 더해져 작품에 이야기가 담겨지면서 우리들에게 더욱 풍성한 해석의 말미를 제공함에 따라 시간이 가면서 조금씩 완성되어가고 세월이 흐르면서 명작이 만들어지게 되는것 같다.

이렇게 <낙신부도>라는 작품에 담겨있는 당시 중국인들의 시대상과 배경을 설명하며 감상하는 부분까지 담아내고 있는데, 그림에 대한 부분은 몇 장의 사진과 몇 줄의 글로만 설명을 하고 있어 조금은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 이 책을 통해 <낙신부도>를 대하는 시선을 조금이나마 알고, 직접 박물관을 방문하여 그림을 대했을 때의 느낌을 스스로 알아보라는 저자의 의도인 것 같다.

이어지는 작품들에 대한 소개도 단순히 그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등장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나 그림속에 검은 바둑돌만 그려진 유심히 보지 않으면 알아채지 못했을 장면을 지적하며 그 속에 숨은 이야기를 알려주기도 하고 마치 보따리 속에 싸여진 보따리를 다시 풀어헤치는 듯이 병풍을 그린 그림이야기를 하며 그림속 병품에 담긴 그림의 이야기를 해주며 공간속에 공간이 담긴 끝 없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처럼 <중병회기도>에서는 앞선 <낙신부도>와는 다른 그림에 푹 빠질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1장의 <낙시부도>처럼 시대상과 시각에 관련된 이야기만 하였다면 조금은 지루했을 이야기들이 <중병회기도>에서 급반전을 하며 그림에 대한 숨은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애정행각이나 황제의 만찬에 담긴 작품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 기대감이 더해진다.

중국 회화에 대한 책이다 보니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기본 배경 지식이 부족하여 중국인들보다는 깊이 있는 감상을 할 수 없을지 모르겠지만 중국 베이징 박물관에 있는 작품을 감상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나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배경 지식으로 읽어보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혹 그렇지 않더라도 중국의 회화를 감상하였던 뜻 깊은 시간이 되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