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런던 아이코닉 런던 - 도시의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런던의 오늘
성종민.김규봉 지음 / 이담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코닉(ICONIC).

그 뜻이 뭔지 추측은 되는데, 평소에 쓸 일도 없고 자주 듣지도 못하였던 단어라, 그 의미를 찾아보니 [~의 상징. 우상의]라는 뜻이더군요. 책 표지에도 런던이라면 떠오르는 국회의사당이나 빅벤 그리고 런던아이라 불리우는 상징물들이 담겨있어, 런던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장소나 건물 그리고 문화제 등을 소개하는 책일꺼라는 추측을 해보게 됩니다. 그런데 런던이라면 세계의 도시라 불릴만큼 너무나 유명한 도시라 직접 방문한 적은 없지만 영상이나 책 등을 통해 접했던 도시라 별다른 기대를 갖지않고 들여다 보게 되었습니다.

음...... 책을 쓴 저자 또한 난감했던것 같습니다.

이 책은 2년 전 JTBC라는 방송사로부터 '아이코닉 런던'이라는 주제로 한 투어를 의뢰받아 진행한 내용을 담은 책인데, 처음 방송사로부터 이 주제를 의뢰받았을 때는, 런던이라면 미래보다는 과거의 영광을 대변하는 도시로 여겨졌는데, 이곳에서 과거가 아닌 '미래에 초점을 맞춘 아이코닉 런던'을 보여달라는 의뢰에 무엇을 보여줘야 하는지 꽤 난감했었던 것 같습니다. ...... 고민끝에 저자는 '도시재생'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가기로 합니다.

과거의 영광이 아닌 미래의 런던, 아이코닉 런던을 보여주기 위해 런던 속의 진짜 런던을 하나둘 보여줍니다.



빨간바지. QR코드. 그리고 대화체로 소개되는 내용들...

이 책의 모든 구성은 사진처럼 진행됩니다.

마치 가이드를 따라 투어를 떠나는 느낌이 드는 구성이죠.

사실 이 책의 저자는 런던을 비롯하여 유럽의 주요 도시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안내하는 '빨간바지'라 불리어지는 여행사의 대표로 방송사의 의뢰로 진행된 프로젝트를 겪으면서 코로나 이후 여행이 개념이 삶을 소비하는 여행이 아닌 우리의 삶에 무언가 도움이 되는 여행으로 변하여야 한다는 자신의 생각을 반영하여 그 때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전까지 런던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빅밴이나 런던아이 등이 아닌 미래의 런던을 대표할만한 가치를 담은 상징물들을 빨간바지라는 자신의 상징물을 내세워 가이드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어체가 아닌 대화체로 구성되어 있고 '빨간바지투어'는 엔터테이너적인 요소가 가미된 투어로 알려져 있기에 QR코드를 통해 음악이나 영상자료들을 통해 현장감 있는 투어를 감상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런던 속의 진짜 런던은 무엇일까?

저자는 미래의 런던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해 준비해 나가는 런던의 현 주소를 보여줍니다.

산업혁명 시대에 교통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던 운하. 런던의 젖줄이라 불려지는 탬즈강만 떠 올렸는데, 런던에 운하가 있었다는 사실이나 그 운하가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운송수단이었다는 것을 알지못했고 세월이 흘러 운송수단으로써의 역활을 할 수 없게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가 했는데, 지금은 다시 운하를 복원시켜 여가생활를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활용하게 되고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되면서 도시를 구성하는 사람들이나 동식물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도시를 재생해주는 역활을 맡게됩니다.

9와 4분의 3 플랫폼.

아마 왠만한 이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으리아 여겨진다. 해리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법의 장소.

그저 한낱 소설속에 등장하는 장소이지만 그 소설로 인해 가상의 세계가 현실의 세계를 변화시키고 있는 현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가 된 것입니다. 이 곳을 보기위해 수 많은 관광객들이 이 곳을 방문하게되고 이 곳을 시작으로 해리포터의 촬영지를 찾아가는 여행의 시발점이 되면서 킹스크로스 역은 런던의 새로운 중심지로 탈바꿈하게 되는 것입니다.

도시재생.

런던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예전의 영광을 누리지 못하고 점점 쇠퇴해가는 도시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기능이 쇠퇴해지고 구성원들이 변화해 대응하지 못하면서 우리들 또한 도시재생이라는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도시에 어떤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모습을 창출해 나갈지, 새롭게 떠오르는 아이코닉 런던이 좋은 본보기가 되리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도시뿐만 아니라 도시를 구성하는 우리들 또한 재생이라는 것에 대해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네요.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