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가 알려주는 가장 쉬운 미분 수업 - 미분부터 이해하면 수학공부가 즐거워진다
장지웅 지음, 김지혜 감수 / 미디어숲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분부터 이해하면 수학공부가 즐거워진다.

미분이나 적분은 예나 지금이나 다들 어렵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수 십년이 지났으면 교육 시스템이 변화되서 학생들이 배우는 방법 또한 많은 발전이 있었으리라 생각되는데, 수학이란게 기초과목이라서 그런지 세월이 지나도 어렵게 받아들이는 건 매한가진가 보다. 그렇다고 피해갈 수는 없기에 다들 고민을 하게 되고 저자 또한 그러했다고 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저자처럼 답을 찾았고 누군가는 그렇지 않아 다른 길을 가게되는데,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미분이라는 개념이 암초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이유일거라 생각된다.

시작은 개념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미분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독자들의 이해를 구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으며 무엇보다 쉽게 이해를 시키기 위해, '수학공부=문제집풀기'라는 개념에서 탈피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들로 채워져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서문에 이 책을 보는 것은 '미분 공부'가 아니라 '미분 이야기'를 보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여타의 소설책을 보듯이 그냥 한장한장 넘기며 읽기만 하면 되는것이다.

미분이야기.

소설책이라면 당연히 주인공이 존재해야 한다.

저자는 세 마리의 개미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키는데, 일반 미분개비와 화살 미분개비 그리고 GPS 미분 개미를 등장시켜 미분이라는 개념을 접목시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리고 개미들의 발자취를 따라 나가다 보면 미분의 기본 개념에서부터 함수에 이르기까지 미분에서 파생된 다양한 개념들 또한 자연스럽게 이해를 하게된다. 그리고 어느순간 미분이라는 것이 이렇게 쉬웠나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개인별 편차가 있겠지만, 그 느낌을 받았지 않았다면 다시 한번 더 읽어보길 바란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내가 이해한 것을 문제풀기를 통해 확인만 하면 된다. 남들이 보면 문제풀기가 공부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독서하듯이 미분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이 진짜 수학공부인 것이다.

예전 내가 수학을 처음 공부했던 방법 또한 그냥 국어책 읽듯이 책을 들여다 본 시간이 많았던 것 같다. 성적 또한 잘 나왔고(문제를 풀었을 때의 만족감이 한몫을 하긴 했지만) 이런 과정이 선순환되다보니 수학에 재미를 붙이게 된 것 같다.

미리 어렵다고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그냥 개미가 알려주는 미분에 대한 이야기를 그냥 보기만 하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