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 전장 - 박경리 장편소설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박경리 선생님 소설이다. 오랫동안 장바구니에 담아뒀었는데, 어느샌가 "품절"이 떠버리고 말았다. 갑자기 읽어야겠다는 조바심이 들어 도서관을 통해 겨우 읽은 책.

책은 해방 이후부터 6.25까지의 시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6.25는 우리 한민족의 전쟁이였고, 그 이후 우리는 지금까지도 그 이념전쟁에서 해소되지 못했다. 왜그래야했을까. 책은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꽤나 양쪽에서 갖는 이념에 대한 괴리와, 그럼에도 살아내야했던 우리의 인간의 삶을 담고 있다.

좀 놀랐다. 박경리선생님이 이 책을 쓰셨던 당시는 '아마도' 아직은 냉전의 한가운데가 아니였나 싶은데, 이런 소설을 쓰셨다니. 박경리라는 대 작가였기에 가능했던 걸까.

남과 북 어느 한쪽을 옹호하지 않고, 꽤나 냉정하게 그려진 소설의 등장인물의 생각이 놀라웠기에.


책은 지영, 기훈, 가화를 통해 그려진다. 해방 이후에도 암암리에 남과 북으로 나뉘어 있었다는 사실은 모두가 안다. 그런 시절, 지영은 돈을 벌기 위해 북쪽과 가까운 마을 선생으로 간다. 결혼을 했고 아이도 있었지만, 누군가 기혼여성은 불리할 수 있다고 미혼인 척 하라는 조언을 하고, 그녀는 거짓말대신 결혼 했다는 사실을 함구한다. 

 그리고 터진 6.25. 북한군이 쳐들어왔다는 사실을 듣고, 지영은 근처 군부대의 도움으로 기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 그 때까지만해도, 지영에게 가족은 일종의 짐이였다. 그래서 '미혼' 행세를 하는 동안은 어쩌면 그녀는 그 현실을 정말 원했었는지도. 하지만,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지영은 가족을 돌아보게 된다. 그렇게 돌아온 가족 속에서 북한군 세상이 된 마을에서 남편 기석은 형을 따라 입당원서를 내지만, 그의 형인 기훈은 그가 가짜라며, 책망하며, 너는 입당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게 입단이 불발되던 차, 인천상륙작전으로 허를 찔린 북한군의 후퇴가 시작된다. 

그리고 형 기훈은 커뮤니스트로 자신의 신념을 따라 사랑하는 여자 가화를 두고, 전쟁에 나선다. 

 한편 국군과 미군으로 점령당한 마을은 그때부터 빨치산을 색출하고, 그 과장에서 누가 공산당인지에 대한 고발이 시작된다. 남편 기석은 입당원서를 냈다는 사실에 두려움에 떨며 숨어지냈지만, 결국 그 이유로 잡혀간다. 그리고 지영은 그 때부터 남편을 찾아, 가족을 돌보며 피난생활을 시작한다. 어쩔수 없이 가족을 돌봐야했고, 살아야했기에 가지 못했던 피난을,  남편을 찾아 전쟁을 피해 자식 둘과 시모를 데리고 떠난 피난생활이 시작된다.


 그리고 공산당의 후퇴에 밀리며 계속해서 이념과 개인의 감정 속에서 갈등을 반복하는 기훈. 그를 찾아나선 가화. 

기훈이 말하는 커뮤니스트 즉 공산당은 지금의 북한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자본주의에 대한 비난, 프롤레탈리아를 핍박하는 체제에 동조할 수 없는 기훈은 가화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과 자신이 지켜야 할 이념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가화를 밀쳐내는 인물이다.

 지영이 지독하게 오롯이 개인과 가족의 삶에 집중하는 당시 인물을 대표한다면, 기훈은 이념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인물을 대표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계속되는 기훈의 커뮤니스트로써의 활동을 읽고 있자면, 나는 개인적으로 답답함을 지울 수가 없었다. 너무,,, 이론적이랄까. 실제의 삶을 돌아보지 않는 그저 철학과 생각으로만 존재하는 어떤 뜬구름같은 생각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그것은 내가 결과를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이기에 그런 생각을 하는지도...또한 이념이든 뭐든 간에 뭐든 사람이 있고서 사상이 있고 체제가 있는 것인데, 기훈의 생각속에 사람이 있지 않다는 점이 내게는 한편 불편함으로 다가왔는지도.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자본가에 의한 임금노예나 공산주의 사회에 있어서 국가에 의한 빵의 노예가 뭐가 다르다는 겁니까? 인간의 상품화, 상품의 물신성을 막고 인간을 해방하려는 마르크시즘은 어디로 달아났다는 겁니까? 지금 프롤레타리아는 존재하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동자는 존재하고 있습니가? 사회주의 실현의 목적은 인간 해방일 겁니다. 그런데 지금은 인간은 오 개년, 십 개년 계획과 사회주의 경쟁을 위한 수단으로 되고 말았단 말입니다. 절대주의와 뭐가 다르며 필연적으로 섹세녈리즘에 빠질 수 밖에 없지 않습니까?" p.299


남편을 찾아, 전쟁을 피해 떠난 피난길 위에서의 지영, 자신의 신념을 찾아 떠난 기훈, 그를 따라 떠난 가화.  

우리는 대체 무엇을 위한 전쟁을 했던 것일까. 전쟁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무엇일까. 죽음과 이별, 지금까지 한민족끼리의 대립하는 상처, 그것을 이용하는 정치집단 외 우리에게 무엇이 남았을까.


슬프다.


개인적으로 박경리 선생님의 책을 많이 읽어보진 않았지만(토지도 아직은...안읽었음...-_-;;) 이렇게 역사적 사실에 대해 구체적인 선생님의 생각이 드러난 책은 처음인것 같아 읽는 내내 놀라웠다...

그리고 그 사실은 많이 슬펐다.


추천!

다시 출간부탁드립니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